MTN NEWS
 

최신뉴스

[MTN 현장+] 스마트공장 3만개 짓겠다는 정부…"기반작업 선행돼야"

박수연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수연 기자]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0일 중소기업계가 모인 간담회에서 스마트공장을 2025년까지 3만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발표가 끝나기가 무섭게 현장에서는 일제히 박수가 터져 나왔다. 종업원 20인 이상인 제조 중소기업 3만4000여개의 90%에 달하는 보급 확대안에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업계에 '선물'과도 같은 정책이라며 반겼다.

성공적인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업종별로 대표할 수 있는 '선도모델' 스마트공장을 현재 45개 수준에서 2025년까지 1500개 이상으로 늘리고 2020년까지 기반기술 연구개발(R&D)에 2154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제 막 발을 내딛은 국내 스마트공장 환경은 아직은 척박하다. 현재 구축된 국내 스마트공장 2800여개 중 10곳 중 8곳은 대부분 생산집계만 자동화할 수 있는 기초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공장을 공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나 부품 등의 산업 수준도 독일, 일본, 미국 등과 비교해 한참 뒤떨어졌다.

이런 점에서 전문가들은 정부가 야심차게 내건 '3만개'의 공장이 외국에서 흔히 말하는 개념의 스마트공장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한다. 단순히 스마트공장의 보급이 아닌 '제조업의 스마트화'라는 관점에서 고도화와 내실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량적인 목표만큼 중요한 기반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하다. 우선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플랫폼의 표준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기조 아래 지멘스(Siemens)를 중심으로 기기와 소프트웨어 표준화 선점을 위한 위한 작업에 힘쓰고 있다. 미국 역시 GE를 중심으로 산업인터넷 컨소시엄을 구축해 일정한 틀을 갖추려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싶어도 전문인력과 자금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적극적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인력을 도입하고 금융권과의 협의를 통해 자금 조달을 원활히 도와야 하는 이유다. 정부도 이와 관련해 산학연 협력을 통해 스마트공장 운영·설계 관련 석·박사 과정을 신설할 계획이고 지난해부터는 은행 등 금융권에서 저금리로 구성된 스마트공장 특례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성공적인 해외사례를 참고해 한국형 모델을 구축하는 작업도 필요해보인다. 지멘스는 스마트 공장 도입을 통해 불량률을 40분의1로 줄이고 제품 출하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했다. GE 역시 스마트 공장 프로젝트를 통해 인건비, 재고, 생산 리드 타임을 각각 14%, 30%, 60% 줄이는 등 혁신성을 도모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대기업 집단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수요건이다. 낮은 생산성으로 고민하는 중소기업의 생산공정 스마트화가 힘을 잃어가는 국내 제조산업의 '신(新)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정부도 뼈저리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로 꼽히는 스마트공장. 단순 자동화 장비로 구성된 공장이 아닌 고도화된 생산 플랫폼과 제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유수의 인력 등 삼박자가 갖춰진 스마트공장이 향후 10년내 국내 제조업 생태계에 단단히 뿌리내릴 수 있길 기대해본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수연 기자 (tout@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