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심층리포트②] "2세대 中기업, 그래서 어떻게 다른가요?"

허윤영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허윤영 기자]
[앵커멘트]
취재기자와 함께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 2세대 중국기업, 다르다 다르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기자] 분명 달라진 부분도 많습니다. 저는 2세대 중국 기업들이 다른 부분을 총 3가지로 정리해봤는데요.

먼저 한국거래소의 상장규정입니다. 2011년을 기점으로 해외기업의 상장 관련 규정이 대폭 강화된 바 있습니다.

상장 주선인, 즉 주관사가 해당 회사 주식의 5%를 의무적으로 취득하도록 했고요, 상장을 주선한 기업의 공시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주관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상장 문턱을 높이면서 “좋은 기업을 증시에 입성시키자” 이런 취지로 규정을 변경한 겁니다.

두 번째 차이점은 바로 업종인데요. 1세대 기업들의 업종이 성장성이 다소 떨어지는 ‘일몰 산업’이라면 2세대 기업들은 요즘 각광 받고 있는 산업이라는 점입니다.

당장 문제가 된 중국원양자원만 해도 쉽게 말해 물고기를 잡는 원양 산업을 영위하는 회사인데, 아무래도 업종의 매력이 떨어지는 게 사실입니다.

반면, 지난해 상장한 회사들 같은 경우 요즘 가장 뜨거운 업종인 전기차부터 화장품, 컨텐츠 등 성장성이 있는 업종에 몸 담고 있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상장 후 실적도 괜찮은 편인데요. 올해 상반기 실적이 후퇴한 회사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지난해 상장한 6곳의 중국기업의 상반기 평균 매출액 성장률(전년 동기 대비)은 18%, 영업이익 성장률은 15%를 기록했습니다.

마지막 차이점은 바로 '주주친화 정책'입니다.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인데요.

많이 알려진 것처럼 배당은 물론이고 한국사무소 설치, CEO의 자사주 매입 등은 통과 의례처럼 자리 잡았습니다.

앵커] 분명 재평가 받을 만한 실적과 주주친화 정책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직도 디스카운트가 완화될 기미는 없는 건가요?

네 맞습니다. 언급했던 차이점이 분명이 있지만 재평가를 받기 위해선 구조적 문제가 해결돼야 가능하다는 게 이해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의견입니다.

그럼 얼마나 저평가 받고 있나가 궁금하실 텐데요. 가장 최근 상장한 컬러레이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회사는 화장품 원료를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샤넬과 로레알 등 글로벌 회사들에게 공급을 하는 회사인데, 현재 PER(22일 기준)이 5.2배에 불과합니다.

현재 국내 화장품 업종의 평균 PER은 20배 가량 됩니다.

극단적인 사례이긴 하지만, 지난 4월 상하이거래소에 상장한 비슷한 기업(坤彩科技, Kuncai Material)이 PER 50배 정도를 받고 있다는 점과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집니다.

정리해보면 2세대 중국기업들이 노력하고 있고, 저평가 받고 있다는 건 사실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주주친화 노력만으로는 차이나 디스카운트를 걷어내기 다소 힘들지 않나, 이런 분석도 슬슬 나오고 있습니다.

외환송금 문제나 주주권리 보호 등은 상장사와 주관사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당국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