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심층리포트]②정책의지·안정적 수익구조…신재생 사업 큰 '매력'

박경민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경민 기자]
[앵커멘트]
정부의 정책의지와 지원제도 덕에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민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산업 1부 박경민 기자 나와있습니다.

앵커1)
먼저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즉 RPS제도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2012년 시행 이후 효과가 좀 있었나요?

앵커2)RPS제도가 확실히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기여한 부분이 많은데, 이 시장이 더 커진다는 말씀이시죠?

앵커3)
보통 기업은 확실한 수익이 보장되지 않으면 투자를 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신재생에너지로 어떻게 수익을 내는건가요?

앵커4)
그런 상황이면 수익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기사내용]
앵커1)
먼저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즉 RPS제도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2012년 시행 이후 효과가 좀 있었나요?


기자1)
정부는 2012년부터 500MW 이상 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들에게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것을 강제하는 RPS제도를 시행중입니다.

RPS제도 도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전문가 인터뷰 들어보시죠.

[인터뷰]우재학 / 한국에너지공단 RPS사업실장
"RPS제도가 시작되기 이전에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었는데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총 공급된 신재생에너지는 약 1GW 수준이었습니다.
RPS가 시작된 이후 지난 5년간 약 7.5GW 정도가 보급돼 과거 10년간 보급된 양의 7.7배 정도가 확대됐습니다."

앵커2)RPS제도가 확실히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기여한 부분이 많은데, 이 시장이 더 커진다는 말씀이시죠?

기자2)
네 그렇습니다.

발전사들이 RPS제도를 이행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입니다.

직접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대기업·중소기업과 SPC를 통해 신재생 발전소를 짓는 방안, 마지막으로 소규모 민간 발전사업자들에게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즉 REC를 구매하는 겁니다.

기존 RPS제도는 올해부터 매년 1%씩 비율을 상승시켜서 2023년 이후 10%로 늘리는 계획이었는데, 정부는 2030년 28%까지 RPS비율을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예를 들면 1000MWh를 전기를 만드는 발전사는 2023년 이후로 100MWh의 신재생 발전만 확보하면 됐는데, RPS 비율이 계속 올라가게 되면 직접 발전소를 짓든, 민간에서 신재생 공급량을 사오든 신재생 관련 투자를 더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때 자금조달 등 문제로 발전사들이 RPS 이행에 필요한 모든 신재생 설비를 모두 건설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부족한 양은 민간에서 사올수밖에 없습니다.

대기업 입장에서도 신규 원자력발전소나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없어진 상황에서 RPS시장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3)
보통 기업은 확실한 수익이 보장되지 않으면 투자를 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신재생에너지로 어떻게 수익을 내는건가요?


기자3)
먼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수익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수익은 한국전력에 전기를 판매해 얻는 수익과 발전사에 인증서(REC)를 판매해 얻는 수익 2가지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 두가지를 따로 판매했고, 각각 가격이 독립적으로 계속 변했습니다.

유가변동이나 인증서 수요가 변하면서 가격도 함께 들쑥날쑥하면서
수익을 예상하기 어려워 투자가 확대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앵커4)
그런 상황이면 수익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기자4)
정부는 기존에 제기돼 왔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들쑥날쑥한 수익과 투자비 회수 위험 등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을 극복하기 위해 올해부터 '장기고정가격계약제도'를 도입해 시행중입니다.

장기고정가격계약 제도는 발전사들이 신재생으로 생산된 전력을 구매할 때 고정가격으로 20년 내외의 장기계약을 의무화한 제도입니다.

전기판매와 인증서 판매를 따로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동일한 가격으로 20년동안 판매계약이 이뤄지기 때문에 장기간 수익이 확실해졌다는 점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확보됐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특히 금융기관 입장에선 장기고정가격계약제도를 통해 투자 원리금 회수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 제도를 아주 반겼다고 합니다.

실제로 대규모 신재생 사업 추진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도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듯 정부의 정책의지에 따른 RPS제도 확대와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보는 신재생에너지 시장 투자에 매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참여도 속속 늘고 있습니다.

한화솔라파워는 직접 발전소 건설을 통해 수익 창출에 나섰고, SK E&S나 포스코에너지 등도 해상풍력 등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이른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발표하면 이러한 투자확대 움직임에는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 신재생 시장이 커지면서 한화큐셀이나 LG전자, LS산전, 두산중공업, 효성 등 태양광, 풍력설비 제조사들의 국내 매출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