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다이소-골목상권 상생방안 5개월째 무소식

유찬 기자

서울 명동에 위치한 8층 규모 다이소 매장


유통 대기업 다이소와 골목상권의 상생 방안이 좀처럼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골목상권 침해 문제로 문구업계 등과 마찰을 빚은 후 다이소는 올 2월 자발적 상생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당시에도 상생안은 구체적이지 않고 허울 뿐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5개월이 지난 지금 다이소와 동반성장위원회, 문구협회 등은 '협의 중'이라는 답변 외에 뚜렷한 상생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 매출 20% 타격, 소상공인 어려움은 '현재진행형'

지난 19일 오전 찾은 서울 홍은동 한 초등학교 정문 앞.

지도 앱 상으로는 문구점 두 곳이 운영을 하고 있어야 하지만 문구점은 지도 상에서만 존재할 뿐 이미 폐업한 상태였다.

주변 문구점이 어디 있냐고 묻는 기자에게 꽃집 상인은 "문구류 사시려면 근처 지하철역 쪽으로 조금만 가면 다이소가 있으니 거기를 찾아가보라"고 말했다.

큰 길 건너편에 위치한 또 다른 문구점에서 20년 동안 가게를 운영했다는 A씨는 2011년 지하철역에 다이소가 들어선 뒤 매출에 큰 타격이 있었다고 했다.

"전과 비교해 20% 이상 매출이 감소했다고 본다"며 "다이소가 초기와 달리 3M, 모나미 등 브랜드 문구류도 취급하기 시작하면서 경쟁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털어놨다.

특히 "같은 문구점끼리 시장논리에 따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업이 들어와 영역을 뺏어가는게 문제"라고 아쉬워했다.

문구점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던 초등학교 준비물이 사라지고, 소비자의 구매 패턴이 바뀐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문구점 몰락은 가파르다.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2006년 전국 2만583개였던 문구점 수는 2016년 1만963개로 10년 새 반토막 났다. 종사자 수도 3만 3,943명에서 2만1명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다이소는 2006년 매출 800억원에서 지난해 1조 6,400억원으로 20배 뛰었다. 문구소매업계 총 매출 1조 9,400억원에 육박하는 수치다. 매장 수도 1200여개에 이른다.

◆ 동반위-문구업계-다이소는 '논의 중'

동반성장위원회와 전국학용문구협동조합, 다이소는 상생협력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를 2월부터 5개월 째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선 실질적 상생협력안을 내놓을 지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논의의 핵심은 다이소를 중소기업 적합업종 규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문제다. 2015년 동반성장위원회가 문구소매업을 종기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서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연필과 지우개 등 문구류 18개 품목을 묶음 단위로만 팔 수 있게 됐다.

실질적으로 다이소가 문구류 묶음 판매만 하도록 규제를 하느냐 마느냐를 두고 협상을 하는 셈인데, 문제는 묶음 판매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한 문구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다이소를 가보면 묶음 판매 비슷하게 하고 있다"며 "묶음 판매를 강제한다고 해서 우리 쪽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A씨도 "묶음 판매는 공생 관계를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대규모 물량 단가를 맞추기 위한 것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구할인판매점을 운영하는 B씨는 "지고 산다는 느낌으로 그냥 살지만 어쩌겠나, 대기업하고 나라는 안 바뀌는데"라며 불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때문에 보다 현실적인 상생 방안을 내놓기 위해선 다이소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정희 중앙대 경영학 교수도 "처음 50평 정도던 다이소 매장이 200평, 300평으로 규모화되면서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며 "그동안 규제 사각지대에서 확장해왔다면 이제는 의지를 가지고 상생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이소 관계자는 "지금 다이소는 법에 따라 규제받고 상생안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골목상권과 대화하고 조정하기위해 노력하는 것"이라며 "앞으로 문구업계, 다이소 가맹점과 중소협력업체들과 함께 살 수 있는 길을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이소는 지난 2월 상생방안을 내놓으면서도 "조속히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한 바 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유찬 기자 (curry30@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