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특이한기자들] '안전한 먹거리' 어디에?…친환경 유기농 '무한 경쟁'

윤석진 기자

취재현장에서 독점 발굴한 특종,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슈. 특종과 이슈에 강한 머니투데이 방송 기자들의 기획취재
thumbnailstart


앵커> 잊을만 하면 한 번씩 터지는 식품 사고 때문에 소비자들의 우려가 큽니다. 최근에는 '해썹' 인증을 받은 유명 식품회사 계열 제품이 식중독을 유발해 입방아에 오르내리기도 했는데요. 이 때문에 좀 비싸더라고 건강을 생각해서 깨끗하고 안전한 친환경 유기농 제품을 먹겠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친환경 식품 시장 동향부터 인증 관련 이슈까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윤 기자,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친환경 유기농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은데, 먼저 시장 상황을 설명해주시죠.

기자> 예, 최근 건강을 생각하는 '웰빙족'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자녀 1명을 두고 있는 중산층 가정을 중심으로 친환경 식품 구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친환경 농산물 시장은 식품 인증이 강화된 2013년 큰 폭의 감소 이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1조9,000억원 넘고, 오는 2025년에는 2조4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친환경 식품이도 인증이 여러가지라고하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크게 유기농 인증과 무농약 인증 식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농약 농산물 시장이 유기농 농산물 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유기농의 경우, 최근 몇 년간 연평균 4.0% 가량 성장하고 있고, 무농약은 그보다 높은 6.5%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기농 인증은 유기합성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은 식품에 붙고요. 무농약은 유기농처럼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하지 않지만,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3분의 1 이내로 사용합니다.

유기농은 100% 천연 방식으로 키우는 만큼, 손이 더 많이 가 무농약 방식보다 비용이 더 들어갑니다. 유기농 제품이 무농약 제품보다 가격이 더 비쌀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유기농만큼은 아니지만, 일반 제품보다는 안전하면서도 가격은 합리적인 무농약 상품이 친환경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무농약 제품을 중심으로 친환경 식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말씀이신데, 친환경 전문점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친환경 전문점 업계의 매출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신장률은 크게 하락했는데요.

친환경 전문점은 대상그룹 계열사인 '초록마을'과 풀무원 계열의 '올가홀푸드', 생활협동조합인 '자연드림' 등이 있습니다.

지난 6년간의 매출 실적을 보면 상승률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데요. 2013년 1조567억원을 기록하면서 그 전년보다 매출이 20%나 늘었지만, 지난해 1% 성장하는 데 그쳤습니다.

특히, 풀무원 계열의 친환경 전문기업인 올가홀푸드가 수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5년 1,024억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868억원으로 1,000억원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0억대를 유지하다, 지난해 마이너스(-) 40억원으로 적자폭을 키웠고요.

앵커> 친환경 시장은 계속 커가는 데 관련 전문점은 오히려 위축된 모양새네요. 이유가 뭔가요?

기자> 친환경 시장에 뛰어든 기업이 많아지면서 기존 전문점들의 실적이 악화된 겁니다.

먼저, 대형마트의 약진이 눈에 띄는데요.

대형마트 한켠에 구색맞추기 식으로 꾸며졌던 유기농 코너가 점점 진화하면서, 친환경 전문점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성장했습니다.

실제로 롯데마트의 친환경 PB 브랜드인 해빗(Hav’eat)은 지난 2015년 이후 지속해서 성장해, 올해 1~8월 기준으로 작년보다 매출이 40% 뛰었습니다.

신세계그룹의 친환경 브랜드인 '자연주의도 점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고요.

여기에 디지털 기반 사업자까지 가세했습니다. 쿠팡은 지난해부터 150개가 넘는 유기농 친환경 브랜드 제품을 '로켓배송'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지난 6월 '헬로네이처'를 인수하면서 친환경 식품 새벽배송을 선보였습니다.

앵커> 기존 친환경 전문점과 대형마트, 거기에 디지털 기반 이커머스 기업까지 유기농 식품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양상이네요.

기자> 예, 그렇습니다. 그래서 각 기업들은 뒤처지지 않기 위해 배송을 더 신속하게 한다던가, 가격을 타사보다 낮추는 등의 판매 전략을 진행 중입니다.

대형마트는 산지발굴이나 가격 협상력 면에서 앞서 있다는 점을 이용해 가격 단가를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친환경 전문점과 동일한 상품을 더 저렴한 값에 확보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고요. 롯데마트는 공동 매입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췄습니다.

또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부터 해빗팀을 건강 관련 식품을 전담하는 BM(Business Management) 단위로 신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롯데마트는 건강기능 식품을 계절별로 출시하고, 농가와의 계약재배 비율을 늘릴 계획입니다.

초록마을은 가정간편식과 동물복지 인증 상품을 강화하고 물류센터를 보강하는 쪽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올가홀푸드는 도심형 물류센터를 만들어 배송 서비스를 강화했습니다.

앵커> 결국 친환경 제품을 얼마나 신속하게 배달하느냐, 또 값비싼 제품을 얼마나 저렴하게 파느냐가 관건일 것 같네요. 그러나, 업체들만의 노력으로는 친환경 시장이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어, 정부의 개입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자> 예, 방금 가격 말씀하셨는데, 친환경 유기농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바로 가격입니다.

이 가격이 일반 식품대비 적게는 1.2배에서 많게는 4배까지 비싸다보니, 선뜻 손이 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요. 구매층이 더 넓어지려면 가격 인하가 필수인 셈인데, 일반 농수산물보다 손이 많이 가고 소출량은 적은 친환경 제품의 특성상 그러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다보니 유통사 입장에서 가격 인하 압박을 느끼게 되고, 이는 친환경 농작물 생산자에게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용 절감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농사를 접는 생산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정부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와 관련한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손숙미/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지금 우리나라 유기농은 일부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아이의 아토피나 면역기능 이런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일부 사 먹는 그런 제품으로 돼 있지 대중화가 전혀 안 돼 있거든요. 국가가 개입을 해서 (농가를) 보조해주고 친환경 농산물의 값을 떨어뜨려서 많은 사람들이 사 먹게 사면...]

앵커> 높은 가격과 더불어 문제로 꼽히는 게 식품 인증 자체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점입니다. 최근에도 인증 받은 계란에서 살충제가 검출되고, 인증된 케이크를 먹고 집단으로 식중독에 걸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는데요. 각종 식품 인증뿐 아니라 친환경 인증에 대한 불신이 커졌습니다.

기자> 예 그렇습니다. 식품 인증은 신뢰가 필수입니다.

일반 제품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이 전제돼야 소비자들도 믿고 구매할 텐데, 잊을만하면 부실 인증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제대로 검증도 안된 식품에 인증 마크를 붙여주다 보니, 불량 식품이 건강 식품으로 둔갑하고 있다는 지적인데요.

인증을 좀 더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증 이후 사후 관리까지 철저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인증 마크가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은데요. 더 안전한 식품이라는 뜻같긴 한데, 정확하게 어떤 면이 더 좋은지 모르고 사먹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기자> 예, 그렇습니다.

식품 인증 마크는 아까 말씀드린 유기농, 무농약 등 친환경 인증부터 동물복지, 해썹, 갭(GAP), 저탄소인증까지 28개나 존재합니다.

농식품부나 식약처 등 정부 부처 뿐아니라 각 지자체들까지 앞다투어 인증을 만들다 보니 여러 인증이 난립하고 있는데요.

일본 농림수산청이 5가지 식품 인증마크를 사용하고, 덴마크 정부가 단 1가지의 유기농 인증 마크를 쓰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식품 인증이 얼마나 많은지 실감할 수 있습니다.

인증이 많다 보니, 소비자들이 뭐가 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령, '동물복지' 계란의 경우 넓은 마당에 풀어 놓은 닭이 낳은 알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 양계장에서 키운 닭보다 넓은 공간에서 키울뿐 방목이 아닙니다. 동물복지 앞에 '자유방목'이 붙어야 전통방식으로 닭을 풀어서 생산한 계란입니다.

또 인증 마크만 붙었다 하면 다 친환경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유기농이 사람의 건강과 환경 보존까지 고려한 인증이라면, 갭(GAP) 인증은 우수 농축산물 인증일뿐 환경 보호와는 연관성이 적습니다.

워낙 인증이 많은데다 그 의미도 제각각이다 보니 인증 개수를 줄이고, 그 뜻도 명료하게해 소비자 혼돈을 줄이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친환경 식품 시장 동향부터 인증 제도의 문제점까지 두루 짚어봤습니다. 윤석진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윤석진 기자 (drumboy2001@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