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GTX '안전성' 강조하는 국토부…보상 문제도 관건

김현이 기자

뉴스의 이면에 숨어있는 뒷얘기를 취재기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뉴스 애프터서비스, 뉴스후
thumbnailstart


앵커>
설 연휴를 앞둔 지난달 31일, 지하 대심도 건설기술 토론회가 파행을 맞았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해 짓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의 노선 변경을 주장하는 주민들과 마찰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말 많고 탈 많은 GTX, 안전성 문제를 비롯해서 최근 제기된 여러가지 이슈들 다뤄보겠습니다. 건설부동산부 김현이 기자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지난주 지하 대심도 건설기술 토론회 다녀왔잖아요. 환영만 받는 줄 알았던 GTX에도 꾸준히 반대 목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은데. 무슨 내용인지 설명 좀 해주시죠.


기자>
지난해 12월27일 GTX A노선이 착공하기 전 주민들에게 실시계획을 통보했습니다.

그런데 서울 청담동이나 후암동, 경기 파주나 일산 등 일부 지역에서는 GTX가 주택가 지하를 지나가게 되는 겁니다.

특히 GTX는 지하 40m 대심도 깊이에 터널을 뚫어서 철도를 까는 만큼 주민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주택가가 아닌 한강변 우회 노선을 요구하는 청담동 주민의 말 한번 들어보시죠.

['GTX A 노선변경을 위한 청담동지역 주민' 대표: 우리 아파트 무너지면, 내 집 무너지면 우리 식구 다 죽습니다. 지반 침하는 필연적으로 수반되는데….]


앵커2)
주민들이 불만이 높은데 당국이 소통을 좀 소홀히 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기자)
네, 청담동 주민들의 경우에는 국토부가 A노선 착공식 전에 4,500건에 달하는 반대의견서들을 무시했다고 토로하고 있는데요.

뒤늦게나마 꾸준히 소통의 자리가 마련되고는 있는 모습입니다.

지난 1일에는 강남구청장이 주민들과 만나서 전날 김현미 장관과 면담한 내용을 설명했는데요.

구청에서도 노선 변경을 요구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지금도 2조9000억원이 넘는 공사비가 더 늘어난다는 이유에서 거절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주민의 말에 따르면 강남구청에서 노선 우회 비용을 일부 부담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의사를 표현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A노선 외에 GTX B, C노선도 있고 철도 사업들이 많잖아요. 그래서 국토부로서는 민원을 한번 들어주기 시작하면 앞으로의 사업들도 제속도를 낼 수 없다, 이런 판단도 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A노선 사업 시행자인 SG레일도 지역 주민들을 찾아가면서 설명회를 하고 있는데, 주민들의 불만을 쉽게 잠재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3) GTX라고 하면 지하철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대심도 건설이 이전에 시도한 적 없는 기술인가요?

기자)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대심도는 지표 40m 이하 구간인데요.

지금 수도권 지하철들의 평균 깊이가 22m정도 되고, 가장 깊은 곳이 77m정도 됩니다.

이 가운데 지하철 3호선이나 5호선, 별내선, 김포경전철 등은 도심지 건물 바로 밑을 통과하는 터널공사를 한 적이 있다는 겁니다.

또 도로의 경우에도 제물포 터널이라든지 서부간선 지하화 사업 등이 gtx보다 2배 이상 단면인 터널을 지은 적 있다는 거죠.

해외에서도 도심지 지하 터널 시공 사례들이 많데요. 주로 대도시의 과밀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미국 보스톤의 빅디그라든가, 일본의 야마테 터널, 프랑스 파리 A86 등 지하 도로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GTX A노선의 경우 총 길이가 86km에 달할 정도로 깁니다. 이렇게 대규모 대심도 공사는 드물긴 하죠.

국내 건설기술업계는 어쨌든 안전성은 문제가 없다고 말합니다.

또 깊게 내려갈 수록 지반이 더 단단해져서 터널 발파 작업을 할 때도 좀 더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인데요.

어쨌든 대심도 건설을 통해서 지하 매설물, 수도관 같은 장애물 없이 직선 노선을 고속으로 운행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앵커4) 이 GTX 공사구간에는 토지 보상도 시행 될텐데요?

기자) 네, 올해 GTX A노선 일산~삼성 구간에는 718억원의 보상금이 배정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현재 사유지 지하공간을 사용하는 경우 보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감정평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거죠.

특히 GTX처럼 공공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보상의 경우에는 개인별 보상액이 소액인 경우가 많아서 토지 소유자와 보상 협의를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 문훈기 다산컨설턴트 전무 : 보상의 기준이라는 게 현재는 감정평가사가 감정하도록 돼있는데,
지반 조건이나 이런 걸 고려해서 보상할 수 있으면 좀 더 사업이 잘 진행될 수 있지 않을까….]


앵커5) 이런 문제가 예상되더라도 GTX 사업이 진행되는 것은 그만큼 편익이 더 크다는 거잖아요. 수도권 외곽으로의 이동을 편리하게 해준다는 건데, 사업이 늦어지면 또다른 불만도 나올 것 같아요?

기자) 네, 이 GTX의 최고 장점이 바로 빠르다는 거잖아요.

평균 속도는 시속 110km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존 지하철은 표정속도가 약 30km/h라고 해요. 그나마 지하철 9호선 급행이 46.8km/h정도로 기존 노선들 중에서 꽤 빠른 수준입니다.

그래서 서울로 출퇴근, 통근하는 주민들은 수요가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서울의 과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수도권에 15만5천호의 주택을 건설하는 3기 신도시라든가,

2기 신도시 중에서도 조성 속도가 좀 늦었던 남양주나 파주 운정, 검단 같은 지역은 서울까지 출퇴근하기에는 대중교통이 굉장히 불편합니다.

당장 남양주와 인천을 지나는 GTX B노선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해 달라면서 수십만명이 서명운동을 해서 얼마나 수요가 높은지 알 수 있었는데요.

정부가 선교통 후개발을 외치면서 신도시의 서울 접근성 향상을 공언한 만큼, GTX 같은 교통 수단이 빠르게 자리잡지 못한다면 이런 신도시 건설 정책도 효과가 떨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옵니다.


앵커) 네, 오늘 GTX에 관한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현이 기자 (aoa@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