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스마트조명 시대 열렸지만…갈 길 어두운 'LED조명 보급'

정부 2028년까지 형광등 퇴출…업계 긍정적 분위기 속 '적극적 투자' 피력
조은아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정부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형광등 대신 LED조명을 비롯한 스마트 조명을 확산시키겠다고 나서면서 시장의 기대감도 높아지는 모습인데요. 한편으로는 중국산 제품 공세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이야기 취재기자와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산업부 조은아 기자 나와있습니다.

[기사내용]
앵커1>
조 기자. 사실 LED조명이 어제오늘 새로 나온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생각보다 확산속도가 느린 것 같은데, 어떤 이유에서인가요?

기자>
먼저 시장 상황부터 짚어보자면, 국내 조명시장에선 형광등이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비중이 높습니다

지난해 기준 LED 비중은 43.9%, 형광등은 42.2%로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LED조명이 등장한 것이 벌써 10년도 더 됐는데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형광등 교체가 빠르게 이뤄지지 못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LED조명이 비싼 탓이 큽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을 보면 저가 제품은 10만원 미만에서도 살 수 있지만 안전인증을 받은 기능성 제품을 고르려면 20만원을 훌쩍 넘깁니다.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중국산 부품을 수입해서 조립만해서 파는 제품들이 많다보니 조명 수명이 짧은 경우도 많은데요.

고장나면 전구만 갈면 됐던 백열등이나 형광등과 달리 LED조명은 아직 규격이 통일되지 않아서 전체를 통으로 갈아야한다는 점도 부담되는 요소입니다.

일각에선 중국산 제품이 국내 B2C 시장의 80% 정도는 차지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는데, 그만큼 국내 기업들 입장에선 B2C 시장 판매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앵커2> LED조명 시장에서도 중국기업들이 가로막고 있는 상황이네요. 게다가 카피캣 문제도 있다고요?

네 맞습니다. 카피캣이 넘쳐나는 상황입니다.

B2C 시장에선 LED조명이 인테리어의 한 요소로 들어가다보니 기능보단 디자인을 따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디자인 베끼기 현상이 극심하다보니 제품을 내놓으면 수 주 내에 금방 따라한 미투 제품이 나온다고 합니다.

디자인 뿐만 아니라 기술 카피캣 문제도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기술 베끼기도 심각하다보니 기업들이 LED조명 전시회에 나가도 일부러 주력 제품은 전시하지 않을 정도라고 합니다.

가뜩이나 B2C 영역에선 LED조명 사업을 하기 어려운데 지난해엔 건설 경기까지 좋지 않아서 B2B 사업도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이 많은 형편입니다.


앵커3> 우리 기업들은 국내 B2C 시장이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 해외 기업들은 국내 시장에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 않나요? 우리 기업들에겐 더 어려운 상황이 될 것 같은데 어떤가요?

기자>
네. 최근 들어 해외 기업들이 연달아 국내 시장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국내 기업들과의 차별화 포인트라라면, 프리미엄 LED 조명을 내세웠다는 점입니다.

영국의 다이슨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저절로 밝기가 조절되는 제품을 선보였고 일본의 발뮤다도 LED 조명 스탠드를 출시했습니다.

다이슨 조명은 가격이 100만원에 육박할 정도이고 발뮤다도 50만원이 넘을 정도로 고가입니다.

해외 기업들의 국내 진출에 대해 국내 기업들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데요. 일단 품질과 원가 경쟁력 확보로 대응해나겠다는 분위기입니다.

관련 인터뷰 들어보시겠습니다.

[신병호/소룩스 CFO :
품질은 안전 측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고, 원가경쟁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외국계 자본회사는 물건을 수입해오고 저희는 국내에서 직접 생산을 하기 때문에 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고요. 국내 업체들이 (부품)수입에 의존을 하는데 저희는 직접 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 포인트를 잡아서 수행해나가면...]


앵커4>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스마트조명 보급 정책이 큰 힘이 되긴 하겠네요. 업계에선 어떤 이야기가 나오고 있나요.


기자>
일단 조명 기업들은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선 긍정적인 분위기였습니다.

다만, 정부가 형광등을 퇴출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번에 처음 나온 이야기가 아닌만큼 좀 더 확실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무엇보다도 예산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지자체별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LED조명을 보급하는 사업이나 공공기관에서 LED조명을 설치하는 사업들이 진행이 됐는데요.

일부 공공기관에선 예산이 부족한 탓에 설치비용을 5년, 8년 이런식으로 분납하는 방식을 요구하는 형편입니다.

이렇게 되면 기업 입장에선 기껏 정부 사업을 수주해도 매출로 잡지 못하고 장기채권으로 달아놓고 상각해야하는 부담을 안게 됩니다.

심지어는 이렇게 분납과 함께 보통 2~3년 정도인 제품 보증기간을 8년 이런 식으로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은 지양되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