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AI 강국' 청사진 내세웠지만…ICT 기업 '울상'

AI 전문가 부재…ICT 인재 양성 아직 걸음마 단계
데이터3법 국회 문턱 못 넘어…"글로벌 경쟁력 도태될 것"
박수연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정부가 'AI(인공지능) 강국'라는 청사진을 내세웠지만 정작 AI 투자를 쏟아붓는 IT 기업들은 울상입니다. 현장에 투입할 인재가 턱없이 부족할뿐더러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법까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자세한 이야기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 최근 IT 업계의 가장 큰 소식은 네이버 자회사 라인과 야후재팬의 경영통합입니다. 무엇보다 인공지능 비전을 내세웠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기자) 업계는 이번 라인과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을 최근 10년간 가장 규모가 크고 의미 있는 '한일 경제 협력'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경영통합으로 검색 서비스부터 메신저, 인터넷, 금융을 아우르는 1억명 규모의 거대한 디지털 플랫폼이 탄생하게 됩니다. 8000만명을 거느린 일본 국민메신저 라인과 5000만명이 이용하는 검색 포털 야후 재팬이 손을 잡게 되면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게 된건데요.

무엇보다 매년 1000억엔을 쏟아부으며 세계를 리드하는 AI 업체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세웠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AI패권에 공격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뜻이 담겼습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늘 AI를 강조해왔고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정보기술(IT) 제국주의에 저항했다가 살아남은 회사로 기억되고 싶다, 연합군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한 바 있는데요.

한국과 일본 시장을 넘어 GAFA(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과 알리바바 등 거대 공룡에 맞서려면 업체간 동맹이 필수적이라는 인식과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인공지능 없이는 산업이 발전할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기업들도 사활을 걸고 AI 전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KT경영경제연구소는 오는 2030년 인공지능(AI)이 창출할 경제적 가치가 54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했습니다. 업계도 글로벌 플랫폼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을 맺고 B2B 사업을 확장하며 생태계를 키우는 모습입니다.

카카오의 경우 사내독립기업 'AI랩'을 자회사로 독립시켜 기술 고도화에 힘쓰겠다는 목표입니다. 지난달 이뤄진 SKT와 3000억원 규모의 지분교환도 AI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시너지를 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옵니다.

네이버는 AI 개발 조직인 '서치앤클로바'를 통해 연구개발 투자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베트남을 주요 거점으로 한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구축하겠다는 구상도 발표했는데요.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 패권에 대항할 대한민국 중심의 새로운 글로벌 흐름을 만들기 위해 투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정부도 나서서 예산을 투입하고 인재 양성 확보에 나섰죠.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을 신설했고 AI 관련 분야에 10년간 2조원을 투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또 카이스트·고려대·성균관대·포스텍, 광주과기대 등 5개 대학에 AI대학원 선정을 마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입니다.

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이다보니 현재는 AI 전문가 난에 시달릴 정도로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주요 25개국 대상 세계 AI 상위 전문가 500명 중 한국은 7명에 불과했습니다. 미국 73명(14.6%), 중국(65명)으로 선두인 것과 대조되는 모습인데, 앞으로도 AI 인력 부족 현상은 매년 심화될 것이라는게 업계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의 ICT 인재들이 해외 기업으로 유출되지 않고 국내에 남도록 유도하는 개발자 병역특례 확대를 검토해달라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기자) 제도적 뒷받침도 중요할텐데요. 이번주에 '데이터3법' 개정안 통과가 무산됐죠. AI 생태계 활성화의 근간이되는 법인만큼 업계에 실망감이 돌고 있습니다.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처리가 무산되면서 업계는 실망감이 가득한데요. 정치권과 여야가 한목소리로 AI 생태계 활성화를 외치면서도 정작 구호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업계는 이번 소식에 좌절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번 개정안이 무산되면서 비식별 개인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기업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요원해졌습니다.

업계는 과도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으로 데이터 활용이 어려워져 글로벌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일본정부는 GDPR과 관련해 포괄적 승인을 받아 기업들의 유럽진출에 도움이 된다"며 "한국정부도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 역시 데이터 중요성을 언급하며 정보보호에 소홀하면 대규모 과징금을 부과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데이터 이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건의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유럽연합(EU)은 상업적 목적 등 모든 연구에 가명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을 시행하며 자체 기준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이미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기반 신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치고 있는 선진국과 비교해 국내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