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19개 vs 강원 6개…은행점포 지역간 양극화 심화
인구 10만명당 은행 점포 수 분석광역단체 14곳 중 9곳 평균 미달
디지털화에 줄폐쇄, 경영효율 제고
노인·저소득층 금융소외 대책 미비
임지희 기자
은행 점포의 수도권과 지방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의 인구 10만명당 점포수는 19개인데 반해 강원과 충청은 3분의 1 수준인 5.9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4개 광역자치단체 평균은 10.1개로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5곳만 평균치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이후 금융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영업점의 줄폐쇄로 지방의 은행 사막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가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 14개 광역자치단체 평균은 10.1개로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5곳만 평균치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이후 금융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영업점의 줄폐쇄로 지방의 은행 사막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고령층의 금융소외 문제가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머니투데이방송(MTN)이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공시된 올해 1분기 국내은행 점포수를 지난달 기준 행정자치부 인구로 나눠 '인구 10만명당 점포수'를 계산한 결과 서울은 전국 평균(10.1개)의 두 배 가까운 19개로 분석됐다.
인구 대비 점포가 가장 많은 곳은 울산으로 20.5개에 달했다. 부산이 12개로 3위, 광주가 11.3개로 4위, 대구가 10.3개로 5위로 서울 등 4대 대도시에 점포가 집중됐다. 조사 대상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국책은행 등 17개가 포함됐다.
인구 대비 점포가 가장 많은 곳은 울산으로 20.5개에 달했다. 부산이 12개로 3위, 광주가 11.3개로 4위, 대구가 10.3개로 5위로 서울 등 4대 대도시에 점포가 집중됐다. 조사 대상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국책은행 등 17개가 포함됐다.
반면 충청과 강원은 최하위인 5.9개로 집계됐다. 경상 7.4개, 경기와 전라 7.6개, 세종 7.9개, 인천 8.1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2020년 조사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도시 10만명당 은행 평균 지점 수는 18.3개다. 이를 감안하면 전국 평균은 물론 세계 도시 평균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도시 거주자의 금융서비스 수요가 많은 탓이지만 은행의 접점이 줄면서 결과적으로 지역별 금융 정보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점포 축소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은행 점포는 6,118개로 5년 전 7,201개 보다 1,000개 이상 사라졌다. 올해도 예외는 아니다. 상반기에만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 영업점 140곳이 문을 닫았는데 이달 55곳이 추가로 사라질 예정이다.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급증한 가운데 네이버·카카오 등 빅테크의 금융서비스 진출 확대와 인터넷은행 공세까지 가세해 영업점을 줄이고 조직을 슬림화하는 등 경영 효율화에 나선 영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용 효율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사실상 점포를 닫는 것"이라며 "은행권 점포 폐쇄 움직임은 비대면 거래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속되는 고령층 등 금융소외 문제 지적에는 유통업계와 손을 잡거나 공동점포를 여는 등 특화점포 확대를 통해 다방면으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계속되는 고령층 등 금융소외 문제 지적에는 유통업계와 손을 잡거나 공동점포를 여는 등 특화점포 확대를 통해 다방면으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고령층 인구 비중이 높은 지방에서 점포를 찾기 위해 걸음을 감수해야 하는 불편에 대한 대책은 미비하다는 점이다. 70대 이상 고령층 70%는 여전히 현금을 지급수단으로 이용하는 가운데 오프라인 점포 방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속되는 지적에 은행권이 공동점포 등 특화점포를 고육책으로 내놓고는 있지만 대출업무 불가능 등 업무에 상당한 제한이 따른다. 금융소외 문제를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어 계층간, 지역간, 연령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계속되는 지적에 은행권이 공동점포 등 특화점포를 고육책으로 내놓고는 있지만 대출업무 불가능 등 업무에 상당한 제한이 따른다. 금융소외 문제를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어 계층간, 지역간, 연령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특화점포의 경우 업무범위가 대단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대개는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업무를 주로 처리할 가능성이 높다"며 "은행이 이윤극대화를 위해 점포를 폐쇄하고 있지만 모든 사람이 골고루 금융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점포수를 은행 경영 평가에 인센티브를 주는 식으로 제대로 된 점포를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지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