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잘 나가던 전력산업…에너지패러다임 변화에 신사업 활로 모색

박경민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경민 기자] 잘 나가던 전력산업이 변화의 물결에 직면했다.

비단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에너지전환' 정책 얘기만은 아니다. 에너지 패러다임이 환경과 안전을 중시하는 쪽으로 변화하면서 기존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의 핵심설비를 공급하며 승승장구하던 관련 글로벌 기업들도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이뤄지면서 시작됐다.

태양광, 풍력 등 청정한 자원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사업이 확대되고, 환경 규제는 점점 강화되면서 발전용 터빈을 비롯한 주요 전력설비의 수요자체가 줄어들었다.

한때 전 세계 전력 생산 장비의 3분의 1을 점유하던 미국의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 역이러한 변화의 물결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최근 GE는 전력부문에서 일하는 직원 약 1만 2,000명을 감축한다고 발표했다. 전력부문 전체 인력의 약 20%에 해당하는 숫자다.

독일의 전력회사 지멘스(Siemens) 역시 화력발전소의 핵심 설비인 터빈 수주가 악화되며 발전설비 매각과 인력감축을 진행 중이다. 지멘스는 전 세계 23개 사업장 중 절반을 매각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구조조정으로 화력발전 사업에서만 7000여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란 예상도 있다.



한국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설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 온 두산중공업도 지난해 5조 510억원을 수주하는데 그쳤다.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백지화되고,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석탄화력발전소가 지목되면서 당초 목표로 했던 수주액 10조 6,000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력공기업 한전은 원전가동률 하락으로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1,294억원을 기록했다. 한전은 2013년 2분기 이후 18분기만에 적자를 냈다. 실적 부진으로 14일 한전 주가는 장중 3만 2,40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각 기업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GE와 지멘스는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았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운영체제를 개발해 수익을 내고 있다. 빅데이터와 IoT 기술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공장을 운영하도록 해 주는 스마트팩토리 전용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역량을 모으고 있다.

두산중공업 역시 신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LNG발전과 신재생에너지발전을 늘리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가스터빈 사업을 강화하고, 풍력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원자력과 화력발전 중심이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복안이다.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으로 에너지 공기업들도 변화에 나섰다. 국가 에너지정책을 사업 기반으로 하는 특성상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리는 등 활로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한전은 전기사업법 상 허용되지 않은 전력생산을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한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지난해 8월 한전이 신재생사업 허용을 전제로 내부적으로 수립한 신재생사업 추진계획 규모는 태양광 약 5GW, 해상풍력 7.2GW를 포함해 총 13.5GW 수준이다.

탈원전 정책의 중심에 있는 한수원은 현재 0.8GW 수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을 2030년 7.6GW로 10배 가까이 늘린다는 방침을 세우고 세부 계획을 수립 중이다.

한수원과 5개 발전사(남동·중부·동서·서부·남부발전)가 계획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투자계획 규모는 약 33GW(기가와트)에 이른다.

2030년 신재생 전력생산 비중을 20%로 만들겠다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신규 설비 용량은 48.7GW다. 산술적으로는 한전과 6곳 발전회사의 신재생발전 계획만 정상 추진되면 목표 달성에 성공할 수 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