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가 반인데…쌓여있는 사용후핵연료 대책부터 세워야

박경민 기자

thumbnailstart

앵커>
정부가 원전 해체산업을 본격 육성하겠다고 밝히면서 가장 민감한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가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2030년엔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 중 설계 당시 정한 수명을 넘기는 곳이 12기까지 늘어납니다. 모두 해체해야 하는데 사용후핵연료를 어떻게 폐기할지에 대한 기존 계획은 백지화됐고, 새로운 논의기구는 아직 출범도 못 하고 있습니다. 박경민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원전인 고리 1호기.

40년을 일한 뒤 현재는 해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발전소의 터빈은 멈췄지만 해체를 위해선 4년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열과 방사능 수치가 높은 사용후핵연료를 수조 안에서 냉각시킨 뒤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정하민 / 한수원 고리1발전소 해체준비팀장(2018년 6월) :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에 보관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가 모두 외부시설로 반출된 이후에 방사선 계통에 대한 철거작업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 사용후핵연료를 어디에, 어떻게 처리할지는 아직 계획조차 세우지 못했습니다.

과거 정부에서 2053년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가동을 목표로 2028년까지 부지를 선정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모두 백지화됐습니다.

국민 의견수렴 절차를 주관하기 위해 정책 재검토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는데 이견이 계속되면서 올해 상반기 내 출범도 불투명합니다.

[이헌석 /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 정부가 재검토 위원회 구성을 하겠다라고 4월 초에 계획을 발표했었고, 저희는 그런 위원회 구성이 문제가 많다라고 해서 (반대)성명서를 내놓은 상태인 거죠.]

원전 해체 비용의 절반 이상이 폐기물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만큼 다른 분야는 부가가치가 미미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주한규 /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원전 해체를 하게 되면 주로 들어가는 비용이 어디냐면 폐기물을 처분하는 데 들어가거든요. 제염 기술이라든지 원격절단기술 이런 걸 연구개발하는 그런 일은 있을 수 있지만, 실제로 시장에 나가서 수주를 해서 이렇게 사업으로 키우기에는….]

월성 원전은 2021년, 고리원전은 2024년이면 임시저장공간이 포화됩니다.

저장시설 확충을 못하게 되면 해체는 고사하고 원전 가동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만큼 폐기물 처리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