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홍영만 캠코 신임사장의 역할과 갈림길에 선 캠코

권순우 기자

자산관리공사, 캠코는 무슨 일을 하는 회사일까요? 캠코는 금융회사의 부실자산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부실징후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기업입니다.(자산관리공사법 1조)

캠코의 전신은 산업은행의 연체대출금을 정리 하기 위해 설립된 ‘성업공사’입니다. 부실채권에 대한 개념이 별로 없던 시절 성업공사는 하는 일이 거의 없는 ‘사라지고 있는 회사’였습니다. 성업공사 시절 입사한 캠코 관계자는 “입사를 했더니 선배들이 없어질 회사에 뭐하러 취업을 했느냐고 묻곤했다”고 말했습니다.


캠코가 우리 사회 전면에 나서게 된 건 IMF 구제 금융을 받게 된 1997년 이후입니다. 한보, 대우, 기아 등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믿었던 재벌기업들이 무너지고 어마어마한 부실채권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이미 시장 기능은 마비된 상태. 정부는 39조원의 공적자금을 조성해 금융회사에서 발생한 111조원에 부실채권을 사들입니다.

교보생명, 대우조선해양, 쌍용건설 등 굴지의 대기업들이 캠코를 통해 새 생명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투입된 공적자금보다 8조 9000억원, 123%를 회수해 세계에 유례가 없는 성과를 거둡니다.

부실채권정리기금은 지난해 11월 종료됐습니다. 저축은행 부실PF채권과 해운사에서 매입한 선박 33척이 있지만 이제 캠코가 하는 일중에 부실채권정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진 않습니다. 캠코 관계자는 “예전에 부실채권 정리 업무가 전체 업무의 70%였다면 이제는 20%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부실채권 정리를 마친 캠코에게 올해부터 주어진 막중한 임무가 있습니다. 다름 아닌 ‘국민행복기금’. 처음 캠코가 국민행복기금을 운영하는 것에 대해 반발이 심했습니다. 부실채권 정리하는 공기업이 왜 서민금융에 뛰어드느냐, 보기 좋은 업무에 숟가락 얹는 거냐 는 등의 얘기가 나왔습니다.

사실 서민금융은 캠코의 설립 취지와 딱 맞아 덜어지진 않습니다. 행복기금에 접수된 개인의 대출 채권이 금융회사의 유동성과 건전성에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치진 않습니다. 또 부실기업의 경영정상화와도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무엇보다 캠코의 이미지는 아직 서민들에게 낯설기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행복기금은 21만 4000명의 채무 조정을 접수받았고 금융회사, 대부업체 등으로부터 287만명의 연체 채권을 매입했습니다. 또 캠코는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협약을 체결해 18개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KB금융, 적십자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민간 기관들과 연계해 서민금융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민금융나들목’도 캠코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석구석 꼼꼼하게 챙긴다며 전화기 번호 구석으로 번호를 만든 ‘1397 서민금융 다모아 콜센터’도 캠코의 몫입니다. 캠코는 알게 모르게 가장 많은 서민금융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에 이바지한 바를 인정 받아 대통령, 국무총리, 감사원장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총력을 다해 만들어온 서민금융 기능이 어떻게 될지는 오리무중입니다.


정부는 미소금융재단, 신용회복위원회, 국민행복기금을 통합한 서민금융 총괄기관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민행복기금은 캠코에 위탁경영하게 되지만 서민금융의 주도권은 새로 생기는 총괄기구로 옮겨갈 것으로 보입니다. 캠코가 만들어온 서민금융지원 네트워크도, 서민금융나들목도 서민금융총괄기구의 역할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캠코는 흔적만 남은 부실채권 정리 기능과 국유자산 관리 기능이 남게 됩니다.

오는 11일 홍영만 캠코 사장은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습니다. 이 자리에서 홍 사장은 캠코를 어떤 회사라고 설명할까요? 흔적만 남은 부실채권 정리회사라고 소개하기에는 허전함이 느껴집니다. 어떤 회사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발표하게 될까요? 서민금융을 담당하는 기관이라고 설명하기에 향후 만들어질 서민금융총괄기구와 충돌이 불가피합니다.

홍 사장이 캠코의 역사에 어떤 역할을 한 기관장으로 기억될지, 캠코는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될지. 캠코는 지금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