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기술금융 대출 확대, 이번에는 정말?

신새롬 기자

금융권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중소, 중견기업을 지원하는 열풍이라도 분 모양새입니다.

정부는 기술금융 활성화를 하겠다고 나섰고, 시중은행들은 앞다퉈 신상품을 내놨습니다.

중소ㆍ중견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도 대폭 늘리겠다는데, 현실은 어떨까요.


▲ 10년째 ‘염전’ 분류인 산업단지 기업들 ‘대출심사도 불가’

지난 2002년 조성이 완료된 경기도 화성시의 한 산업단지는 10년 넘게 지목이 ‘염전’이었다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더 비싼 값에 토지를 넘기려고 한 토지주의 소위 ‘알박기’로 지자체가 토지주와 법적 분쟁을 한 사이 10년이 넘는 세월이 흘러버린 겁니다.

조성된 산업단지엔 기업들이 입주했고, 10년 넘는 세월동안 용도 변경이 이뤄지지 않자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금융권 대출’이었습니다.

40여년간 의료기기를 생산해 온 한 중소 업체는 이곳의 공장매입을 위해 담보대출을 신청하자 “대출서류 심사조차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나마 주거래 고객인 은행에서는 사정을 봐주겠다고 했지만, 대출한도는 다른 공단에 비해 턱없이 낮았습니다.

기업 대표는 “너무도 황당했다”며, “공단에 혼자 입주한 것도 아니고, 10년 넘게 공장들이 모여있는 산업단지인데도 심사대상이 안 된다고 하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푸념합니다.

금융권은 바뀌겠다고 하는데,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사장님들은 고개를 갸웃합니다.

“은행에서 담보없이 가능성이 있는 회사에 과감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본점의 결제나 서류 절차에 얽매이는 은행원들이 너무 많다”는 겁니다.

단순한 금융인들의 보신주의가 아닌 은행원들의 업무 프로세스 전반이 ‘현장’과 ‘기업’ 중심이 아닌 것부터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 “금융권 담보 관행 깨지긴 어려워”…지속성 방안 고민해야

여신을 빌리는 중소기업들 입장에서 본 금융권의 관행은 ‘사라지지 않는 벽’ 이라고 말합니다.

금융당국의 말 한마디로 금융권의 관행이 바뀔 수 없고, 본점의 결제 과정과 리스크 회피라는 논리가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는 없을 것이란 이야기입니다.

김기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중소기업 대출 관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시중은행의 평균 담보대출 비율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09년 담보와 보증 대출이 51.5%였던데에서 지난해 57.3%로 5.8%포인트 늘어난 겁니다.

은행별로는 대구은행이 65.5%로 가장 높았고, 경남은행이 65.1%, 한국SC은행이 62.9%, KB국민은행이 62.8%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는 KB국민은행이 72.6%로 독보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정부의 푸시에 힘입은 시중은행들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규모를 연간 25조원으로 늘리고, 지식, 기술금융 평가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등 금융지원을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선언적 구호에 그치고 마는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은행원의 이야기를 담은 일본드라마 <한자와 나오키>의 주인공은 중소기업을 찾아가 현장을 확인하고서야 대출을 해줍니다.

장부만으로는 알 수 없는 중소기업의 속사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걸 성장과정에서 배웠기 때문입니다.

최근 한 시중은행장은 중소기업 현장을 직접 찾아 나섰습니다. 애로사항을 듣고, 건의사항을 반영하겠다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한 번의 이벤트, 은행장의 방문보다 중요한 건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심사담당자 한 사람 한 사람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기업 현장을 찾아나서는 것일 겁니다.

그래야만이 당장의 보여주기식 성과와 변화가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변화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신새롬(shinno@mtn.co.kr)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