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 현장+]가격제한폭 30% 시대..코스닥 개미가 생존하려면

박승원 기자

(사진=머니투데이)

정부가 코스닥시장의 가격제한폭마저 코스피시장과 똑같이, 같은 시기에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일단 일각에서는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라 '투기세력이 새로운 제도를 이용해 더 활개를 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시장이 언제나 합리적인 만큼, 30% 가격제한폭의 조기정착에 문제가 없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새로운 투자환경에 따라 투자자들의 생각이나 태도 역시 대대적인 수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4일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수원 광교 테크노밸리에서 열린 기술금융 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 중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가격제한폭을 30%로 일시에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식시장 발전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995년 도입된 가격제한폭 제도는 주식시장에서 하루 동안 개별종목의 주가가 오르내릴 수 있는 한계를 정해놓은 범위를 말한다. 코스피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지난 1998년 12월, 코스닥시장은 2005년 3월 15%까지 확대된 이후 지금까지 유지돼 왔다.


코스닥시장에서 가격제한폭 확대 이야기가 나오면 가장 먼저 '불공정거래'가 논란거리가 된다. 가뜩이나 중소형주 위주인 코스닥시장의 특성상 시세를 조정해 차익을 보려는 투기세력이 많은데, 가격제한폭마저 확대되면 가격 왜곡 행위가 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과 무관하게 투기세력으로 인해 주가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투자자들이 떠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유승민 삼성증권 투자전략팀 이사는 "코스닥시장은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해 시세조정에 대한 유혹이 커질 수 있다"며 "투기세력 증가로 인해 기업의 펀더멘털과 무관한 위험이 추가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증권사 연구원도 "지금은 아무리 손해를 봐도 하루에 최대 15%에 그쳤지만, 앞으로는 그 폭이 두배가 된다"며 "중소형주에 주로 투자하는 개인투자자의 경우 정보와 위험관리에 한계가 있어 피해를 볼 가능성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대해, 가격제한폭 확대가 오히려 투기세력에게도 큰 부담인 만큼 불공정거래가 줄어들 수 있다는 반론이 적지않다.


가격제한폭 확대가 증시의 변동성 확대를 불러오는 가능성은 있지만, 투기세력 증가로 인한 불공정거래 확대로 이어지기에는 인과관계가 적다는 것이다.


김학균 KDB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가격제한폭 확대가 불공정거래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기에는 인과관계가 적다"며 "미국의 경우만 보더라도 가격제한폭은 없지만, 소위 작전을 많이 한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팀장은 "과거 국내의 경우에도 가격제한폭이 확대됐다고 해서 불공정거래가 증가했다는 증거는 없다"며 "증시의 진폭이 커지는 것 외엔 이성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오히려 증시의 변동성 확대로 인해 시장이 좀 더 합리적으로 판단할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일례로 최근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새내기주의 경우 상장 당일 시초가가 공모가의 100%까지 뛸 수 있지만, 이후 급등락을 거쳐 자연스럽게 해당 기업의 적정 가치를 찾아가고 있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한편에서는 가격제한폭 확대가 코스닥시장의 리스크를 확대해 투기시장으로 만들 것이라고 우려한다"며 "하지만, 오히려 변동성이 커져 시장이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적정한 가치를 반영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가격제한폭이 30%인 만큼 상하한가를 기록하는 종목수는 절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주가는 결국 가격제한폭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제자리를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가격제한폭은 폐지돼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가격제한폭이 30%로 변경되면 이에 맞는 새로운 작전 기법이 개발될 것이다. 투기세력에게 부담을 최대화하려면 가격제한폭은 없어져야한다"고 말했다.

운용사의 한 임원은 "상한가에 광분하고 하한가에 벌벌 떠는 감정에 휩쓸리는 모습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며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시세보다 기업의 가치에 더욱 주목해야한다. 기업 가치 분석에 자신이 없으면 전문가에게 운용을 위탁해야한다"고 당부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승원(magun1221@mtn.co.kr)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