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이슈N] P2P대출 부실 '경고음'…실태 파악도 안돼

최보윤 기자

thumbnailstart


< 앵커멘트 >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 돈을 빌릴 수 있는 개인 간 대출, P2P금융시장이 고공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부실 사례도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요.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죠. 경제금융부 최보윤 기자 나왔습니다.

< 리포트 >
앵커) 잘 모르는 분들 위해 P2P 대출이 뭔지 설명부터 해 주시죠.

기자) 네, P2P 대출은 'Peer-to-Peer'의 줄임말로 개인간 대출 거래를 뜻합니다.

돈이 필요한 사람이 직접 투자자를 모아 돈을 빌리고, 투자자들은 금융기관처럼 개인 대출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받는 서비스입니다.

대출자들은 금융기관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 받을 수 있고, 투자자들은 예금 이자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 P2P대출은 현재 대출자와 투자자간 직거래로 이뤄지고 있지는 않고요.

P2P 대출업체들이 대출 희망자들의 신청을 받아 투자자들을 모아 대출을 대행하는 구조입니다.

예금금리가 1%대로 떨어지면서, P2P 업체들은 예금금리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투자자들을 모으고 있습니다.

앵커) 요즘 같은 때 은행에 돈 넣어둬 봤자니, 이런 얘기 들으면 혹할 수 밖에 없는데요. 정말 수익률이 괜찮은가요?

기자) 안타깝게도 현재 정확한 정확한 통계 자료는 없습니다.

국내에서는 2년 전 쯤부터 P2P 업체들이 성행하기 시작했는데요.

업계에 따르면 현재 100여개 업체가 P2P 대출을 하고 있는데, 정확한 시장 규모나 수익률, 부도율 같은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나마 잘 알려진 업체들 몇 군데 홈페이지와 전화 연락 등을 통해 알아보니, 이거 투자 안하고 못 버티겟다 싶을 정도였습니다.

업체들은 저마다 4%대 저금리로 대출이 가능하고, 투자자들은 10%대의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광고ㆍ홍보에 열을 올렸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깊은 함정이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P2P 대출은 개인 투자이기 때문에 원금 보장이 되지 않고요, 대출 종류에 따라 수익률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는데, 수익이 난다해도 27.5%의 높은 세금이 징수된다는 점은 유념해야 합니다.

또 대출자 입장에서도 급전이 필요하다고 막무가내로 P2P 업체를 찾을 것이 아니고 꼼꼼하게 금리와 대출 조건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앵커) 기본적으로 금융 투자라는 것이 고수익일수록 원금손실 부담도 커지는 거잖아요? 업체들 홍보처럼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밋빛 전망만 할 순 없겠죠?

기자) 네, P2P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부실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자평하는 한 P2P 업체에서 부실이 발생하면서 금융업계에 충격을 주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이 업체를 통해 1500만원을 대출 받았던 한 대출자가 최근 돌연 법원에 개인회생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대출자에게 투자한 사람이 34명으로 한 명당 44만원 정도 투자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법원이 해당자의 개인회생을 받아들이면 채권자가 빚 갚으라고 추심할 수 없게 됩니다.

결국 P2P 업체 말만 믿고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게 투자한 34명은 투자금을 고스란히 날릴 위기에 처한 겁니다.

앵커) 대출을 중개한 P2P 회사 책임은 없는건가요?

기자) 네, 해당 P2P 대출 업체는 투자자들에게 이 차입자를 연체 이력이 없고 월 소득이 624만원으로 부실 가능성이 2.2%에 불과하다고 소개했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빚이 얼마나 있었던 건지, 차입자가 결국 빚 갚을 능력이 안된다며 개인 회생을 신청한 지경에 이른거죠.

거꾸로 말하면 그만큼 P2P업체의 신용평가가 허술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P2P 대출 업체들은 대출 희망자들에 대한 신용평가를 기존 은행들과 비슷하게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업체들은 나이스신용평가사 같은 CB 사를 통해 개인 신용등급을 조회하고, SNS 활동 내역 등을 분석해 빚 갚을 능력을 심사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 업체들은 부실 가능성을 염두해 대출 승인을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고 항변하는데요.

그러나 적은 인력과 자본으로 운영되고 있는 소규모 P2P 업체들이 얼마나 심사를 철저히 하고, 대출자들을 관리하겠냐는 것이 문제입니다.

실제 제가 한 업체를 찾아가봤는데요.

20여명의 직원들이 작은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 업체가 무려 1년여 동안 수천여명의 투자자를 모아 173억원이 넘는 대출을 취급했습니다.

대출 이후 보통 회수 기간을 1~3년으로 잡고 있는데 그동안 투자자들이 알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었습니다.

업체 측은 만약 연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투자자들에게 문자나 메일 등을 통해 알린다고 하는데요,

연체가 5회 이상 지속되면 결국 회수 불능한 부실채권으로 분류가 되는데, 중간에 연체가 발생한다고 해서 투자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앵커) 정부 차원에선 어떤 관리 감독이 이뤄지고 있나요?

기자) 현재로선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태입니다. P2P 대출에 대한 법이 없어서 담당 업무를 하고 있는 곳도 없고요.

다만 P2P 업체들이 현대 대부업체로 등록하거나 저축은행 등과 연계영업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법에 따라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는데요.

금융당국은 아직까지 P2P 대출 시장 규모가 미미하다는 이유에서 제도화는 시기상조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을 뿐, 제대로 된 실태 파악 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p2p 시장이 고속 성장하면서 지난해 말 한 차례 금융연구원을 통해 공청회를 열기도 했는데요, 당시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현재까지 추가 논의가 진행된 것이 없는 상황입니다.

때문에 P2P 업체들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투자자들은 제대로된 정보를 얻거나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길이 없는 건데요.

이런 분위기를 조금이라도 타개하고자 일부 P2P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협회를 조성하고 투자자 보호 장치를 마련하기도 했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P2P 인기에 편승해 이를 이용한 금융사기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얼마나 많은 P2P 업체들이 어떤 식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지, 정확한 실태 파악과 함께 투자자들에게 믿을만한 정보와 투자 가이드라인 제공이 시급해 보입니다.

앵커) 네, 고수익 투자는 항상 위험 부담이 그만큼 커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겠죠. 담보도 없는 개인 간 대출인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최 기자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최보윤 기자 (boyun7448@naver.com)]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