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한진해운 청산? 그래도 회생을 말한다

김이슬 기자

<한진해운 육상물류 노동조합원들이 제3회 마리타임코리아 포럼 행사장 앞에서 한진해운 회생을 바라는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선주협회>

[머니투데이방송 MTN 김이슬 기자] "지금 말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았다" 한진해운 사태를 그동안 지켜보기만 했던 두 사람이 입을 열었다. 한진해운 회생방안을 주제로 열린 제3회 마리타임코리아에 참석한 두 인물은 각각 학계와 노동계를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첫 번째 인물은 해상법연구센터 소장인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다. 해상법 전문가인 그는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으로 세상이 시끄러울 때도 외부 노출을 가급적 피해왔다고 했다. 그런 그가 태도를 전향적으로 바꾼 건 대중없는 비판을 없애고, 필요한 쟁점에 집중하도록 전문가로서 나서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선주책임제한을 통해 한진해운 선박 지연이나 회항 등에 따라 발생 가능한 바다 관련 소송액을 수 십조가 아닌, 3500억 정도로 해결 가능하다"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책임 제한을 분명히 하면 향후 뒤따를 소송 리스크에도 견딜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낮게 깔려있었다. 선주협회 측은 "생각해본 적 없었는데, 논리적으로 가능하다면 법원에 주장해보겠다"고 했다.

또 새로 모습을 드러낸 인물은 장승한 한진해운 육상물류 노조위원장이다. 장 위원장은 본인을 부인조차 노조 활동을 하는 걸 믿지 않을 정도로 '평소 나서지 않았던 사람'이라고 칭했다. 평범한 직장인인 그가 노조위원장직을 맡게 된 건 "가만히 있으면 이대로 끝나겠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

장 위원장의 마이크를 잡는 손이 낯설어 보였다. 그는 한진해운 네트워크가 전부 와해되기 전에 회생한다면, 해운동맹 잔류도 성사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다. 40년 쌓아온 해상인들과의 신뢰는 쉽게 무너지지 않을 거라 믿는 눈치였다. 또 완전 침몰직전 기사회생한다면 한진해운 직원들 30~40% 정도는 살아남을 기회가 있다면서 그 외 함께 하지 못한 직원들을 위해선 "한진해운의 유능한 인재들을 가능한 많이 뽑아달라"고 호소했다.

한진해운 회생을 위해 조용히 지켜보던 이들까지 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금 흘러가는 현실이 무언가 잘못됐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회생에 무게를 싣던 법원도 청산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영업망 매각 절차도 본격화됐고, 대부분 선박이 회수돼 선대가 급격히 무너져 한진해운은 더 이상 옛 기상을 되찾지 못하게 된 것도 사실이다.

그래도 해운업계는 한진해운 회생이 답이라고 말하고 있다. 새 회사를 만들어서라도 한진해운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당장 한진해운이 글로벌 시장에서 갖는 파급력은 기대할 수 없을지라도, 한 해운사가 완전히 사라짐으로써 발생하는 최대 1만2천여개의 일자리 감소 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구조조정에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사후 수습 단계로 가고 있다.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구조조정 첫 수순인 해운업 봉합을 잘 마무리해야 후속 작업에도 신뢰를 줄 수 있다. 앞서 정부와 당국은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을 가볍게 여겨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번에는 그들의 이이기를 허투루 듣지 않았으면 한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이슬 기자 (iseul@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