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사드 보복' 아녜요"…K-뷰티의 속사정

안지혜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MTN 안지혜 기자] '한국 화장품에도 '사드 불똥'이 튀었다'

최근 중국의 한국 화장품 무더기 수입 불허 소식이 국내에 알려졌습니다.

지난 11월 중국이 수입을 불허한 화장품 28개 중 19개가 국내 화장품이었던 것을 두고 국내 대다수 언론들은 앞 다퉈 '사드 불똥'이란 해석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7월 한반도 내 사드 배치가 결정된 이후 면세와 관광 등 산업 전반에서 중국의 무역 보복이 가시화 되고 있다는 해석의 연장선 격이죠.


▲"우리 업체의 과실일 뿐…완전 '오보'에요"

하지만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사드배치 문제와 무관하다며 선을 긋고 있습니다.

우선 이번에 반송 조치 당한 19개 제품은 위생허가 등록증명서 미제출, 사용금지 원료 검출 등 중국 화장품 관련 규정을 명백히 위반했다는 이유에섭니다.

실제로 퇴짜 맞은 업체 중 한 곳인 이아소가 '회사 측 착오'를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애경 역시 제품 성분 표기를 수정해 정상적으로 수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둘째로, 진정 무역 보복이 목적이었다면 이번처럼 중소기업이 아니라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기업에 수입 불허를 내렸을 거란 것이죠.


▲과민반응이 '긁어 부스럼' 될까 걱정

하지만 세 번째 이유가 좀 더 진짜 이유에 가깝습니다.

언론의 보도가 자칫 '긁어 부스럼'이 될까 하는 걱정 때문입니다.

대내외 정세를 고려할 때 '사드 보복'에 대한 의심에는 충분한 개연성이 있을지라도 언론이 여기에 계속 주목하는 건 부담스럽기 때문입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중국은 별로 심각하게 생각지 않는데 우리가 과민반응 보이는 건 아닐까 걱정"이라면서, "우리가 일희일비 할수록 중국에 주도권이 넘어가지 않겠냐"고 우려합니다.

화장품산업 연구 업계에서는 "중국이 오히려 우리 보도 이후 상황을 면밀히 들여다본다면 그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까지 문제가 될 수 있지 않겠냐"는 반문도 나옵니다.

장기적인 대응은 필요하지만 중국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는 건 외려 화를 자초할 수 있다는 입장인거죠.


▲"진짜 사드 보복이라 해도 정부가 뭘 해줄 수 있죠?"

사실 업계의 이런 걱정에는 정부의 조치에 대한 불신이 밑바닥에 깔려있습니다.

정부가 서둘러 한중 통상관계 점검을 위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주중 한국대사관이 중국 현지서 긴급 점검에 나섰지만 업계는 왠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진짜 무역 보복이라 해도 중국과의 양자회담이나 세계무역기구(WTO) 같은 다자회담을 통해 중국을 제어하기엔 한계가 있을 뿐더러, 현실적으로 우리 정부의 사드 철회를 바라기도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죠.

때문에 업계에는 정부가 그저 중국 공무원들과 '꽌시(관계)'를 잘 유지하고, 수출입에 필요한 자료를 수시로 업데이트 해주는 게 유일한 조치일거란 분위기가 만연합니다.

'사드 불똥' 보도가 달갑지 않고, 그저 중국 통관에 책잡히지 않도록 '각자도생'에 나설 수밖에 없는 국내 화장품 업계의 속사정은 이렇게 복잡합니다.


▲"니가 가라, 脫중국"

물론 중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면 중국 리스크 역시 작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K-뷰티' 해외시장 다각화론이 다소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는 왜일까요.

"해외 시장이 누구네 집 앞마당 나가는 게 아닌데 '중국 리스크'가 불거지기만 하면 중동, 북미, 동남아시아 등 시장 다각화 얘기가 나와요. 옆 나라 중국이 곧 세계 1위의 화장품 시장이 될 텐데 국가 간 외교 문제 때문에 멀리 다른 시장을 알아봐야 된다는 게 도대체 말이 됩니까." (A화장품 업체 관계자)

문화부터 인종, 기후까지 국가별로 상황이 다 다를 뿐더러 수출입 인허가 기준도 제각각이라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힘들게 진출했다 해도 흥행 여부는 별개이고요.

특히 중소 화장품 업체일수록 '가성비'가 떨어지는 해외시장 진출은 덜 매력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니 중국 리스크가 아무리 커져도 당분간 우리 화장품 시장이 중국을 버리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안지혜(whys@mtn.co.kr)


[머니투데이방송 MTN = 안지혜 기자 (whys@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