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행복주택-역세권주택-사회주택, 주거난 청년의 선택은?

김학준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김학준 기자]


[앵커멘트]
우리나라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의 많은 수가 주거 빈곤층에 가깝다고 하는데요. 다양한 임대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 제도들을 활용하는 것도 주거비를 아끼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김학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청년층의 평균 월소득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략 23~39%에 달합니다.

주거 빈곤층을 나타내는 기준인 30%를 넘는 청년 수가 많다는 걸 의미합니다. 100만원을 벌면 39만원은 주거비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

하지만 최근 행복주택, 역세권청년주택, 사회주택 등 다양한 임대주택이 공급되고 있어 주거비 부담을 다소 줄일 수 있게 된 점은 희망적입니다.

우선 신혼부부·사회초년생·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올해 2만가구가 공급되는 행복주택은 무주택자이면서 행복주택 공급지역의 주변 직장이나 학교에 다닌다면 지원해볼만 합니다.

대학생의 경우 본인과 부모님 합계 월소득이 488만원 이하면 신청이 가능하고, 직장인이라면 입사한지 5년 이내 미혼으로, 본인 소득이 세전 월 390만원 이하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최근 떠오르는 셰어형 임대주택인 사회주택도 있습니다.

기존 낙후돼 있는 주택을 매입하거나 빈집을 리모델링해 여러명이 지내는 형태로, 1인 가구 기준 월소득이 342만원 이하라면 지원가능합니다.

서울 시민이라면 주변 시세의 60~90% 수준으로 제공되는 역세권 청년주택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현재 역세권청년주택은 삼각지역, 강남, 잠실 등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다만 늘어나는 임대주택 수와 달리 청년주거 해결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립니다.

[전화인터뷰] 우미경 / 서울시 의원
"과연 서울시에서 생각하는 미처 자리를 못잡고, 기반을 못잡는 계층을 위한 것이냐, 아니면 대기업이나 어느정도 안정권에 들어온 청년들이 거주하는 주택이냐 이게 갈려지는 거겠죠."

실제 일부 임대주택은 주변 시세보다 낮은 수준의 임대료를 받더라도 여전히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이 높거나 고가의 보증금이 필요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학준입니다.(hotjoon@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