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관리자 無, 효과는 '글쎄'…'맞춤형 화장품' 관리는 무법지대?

안지혜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MTN 안지혜 기자] "피부색이 '웜톤'인 지영씨는 밝은 색 섀도가 어울리겠네요"

"피부 측정 결과 연주씨는 눈가 주름이 최대 고민이시군요. 노화방지형 앰플을 처방해 드릴게요"

'K-뷰티'가 개인 맞춤형 화장품에 주목하고 있다.

맞춤형 화장품이란 말 그대로 개별 소비자의 특성과 기호를 반영해 만든 화장품으로, 법으로 의미가 규정된 용어는 아니다.

개인별 피부톤과 피부 고민을 반영한 립스틱, 수분크림 부터 유전자 측정 후 맞는 조합을 찾아주는 '고차원'의 맞춤형 화장품까지 속속 등장하는 모양새다.

한국을 넘어 중국과 동남아시아까지 다수를 겨냥해 몸집을 키운 K-뷰티가 '커스터마이징(주문제작)' 제품에서 다음 먹거리를 찾는 건 자연스런 수순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3월 맞춤형 화장품 시범사업을 개시해 이런 업계 요구에 보조를 맞췄다. 일부 화장품 매장에서 소비자 주문에 따라 기성 제품과 화장품 원료 등을 바로 혼합해 판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제조시설이 아닌 일반 매장에서 원료 등을 섞어 '즉석' 제품을 만드는 행위는 사실상 금지돼 왔다.

피부에 직접 닿는 화장품의 특성상 위생 관리나 원료 혼합시 안전성이 깨지는 등 부작용 우려 때문이다.

식약처는 애초 시범사업이 종료되는 지난해 10월 이후 맞춤형 화장품의 정의와 운영 등 세부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은 별다른 공고 없이 이달까지 연장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이달까지 1년 2개월 동안 맞춤형 화장품 시범사업자로 등록한 업체는 29곳에 이른다.

문제는 맞춤형 화장품이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는 만큼 제품을 관리·감독할 주체가 없다는 점이다.

개별 업체들은 자율적인 기준을 도입해 원료 유통기한과 위생 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지만 사실상 배합실 밖 고객들이 확인하기는 어려운 내용이다.

식약처가 권고한 판매장 내 위생상 주의사항 역시 상식적인 수준에 그친다.

주 내용이 '단정한 복장으로 혼합행위를 한다, 제품 혼합 전후 손을 씻는다, 기기를 세척관리한다' 등으로 누구나 알 만한 수준이다.

공식적인 감시자의 부재를 틈타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유전자 기반 맞춤형 화장품을 론칭한 모 회사는 "제품 효과를 입증할 근거가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 "내부 자료는 있지만 아직 법이 마련된 것도 아니고 자체적인 검사 결과를 발표하긴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화장품 회사를 관리·감독하는 주체인 식약처보다 앞서 나가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일면 이해는 가지만 피해는 효과도 입증되지 않은 제품에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는 소비자의 몫으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정부의 맞춤형 화장품 사업이 깊은 고민 없이 급조된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한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초 국내 한 화장품 대기업 관계자가 정부 측에 맞춤형 화장품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구했는데 그 바로 다음 달부터 시행이 되더라"면서 "가이드라인을 급하게 만들다 보니 허술한 데다 바뀐 정부에서 얼마나 연속성 있게 진행할지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식약처는 이에 대해 곧 맞춤형 화장품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답변했다.

개개인을 위한다는 '맞춤형 화장품'이 정말 믿고 쓸 수 있는 안전한 제품인지, 단순한 상술은 아닌지 정교한 컨트롤 타워 마련이 시급하다.

'정말 좋은데, 참 좋은데 어떻게 설명할 방법이 없네'

한 건강기능식품 회사가 내놓아 공전의 히트를 친 마케팅 문구다.

하지만 이는 익숙한 제품에서나 통했던 얘기일 뿐 세상에 없던 제품이라면 더 구체적인 고객 설득이 필요하다.

'정말 좋아도 설명할 길, 관리할 길 없는' 맞춤형 화장품이라면 곤란하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안지혜 기자 (whys@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