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현장+] 대통령 직접 일자리 챙기는데 국내 공장들 일감은?

권순우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MTN 권순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업무지시는 ‘일자리위원회’였다. 성장이냐 분배냐의 이분법적인 논란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를 늘리는 실리를 추구하겠다는 상징적인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약속대로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다. 문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은 일자리로 시작해 일자리로 완성될 것”이라며 결의를 보여줬다.

‘일자리가 최선의 복지’라는 말처럼 일자리는 매우 중요하다. 일자리가 많이 생기면 국민들의 소득이 늘어나고, 소비가 늘면 전반적으로 경제가 활성화된다. 이른바 소득주도 성장론이다. 하지만 일자리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는 매우 어려운 문제다. 정부가 인위적으로 늘릴 수 있는 소재도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국가별 일자리 경쟁이 치열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며 ‘국내 생산’에 몰두하는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어느 기업이 생산하느냐가 아니라, 어디서 생산하느냐가 일자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 업계 역시 노동자의 경쟁 상대는 다른 제조사가 아니라 같은 제조사의 다른 국가 공장이라는 말도 나온다.

전세계 현대자동차의 1분기 공장가동률은 103%다. 유럽 공장의 가동률은 110% 내외로 매우 높고 한국 공장의 가동률은 86.2%로 가장 낮다. 미국과 아시아 가동률은 각각 98.1%, 99.6%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95%로 북미(102.4%), 유럽(108.6%)에 비해 낮았다. 공장을 가동하지 않아도 인건비 등 고정비는 지출이 되기 때문에 공장가동률이 떨어지면 수익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공장판매 실적도 저조하다. 한국 공장의 1분기 판매 실적은 38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 떨어졌다.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 공장 판매는 각각 29.7%, 20.1% 늘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공장조차 0.2% 소폭 늘었다. 내수침체가 이어지니 국내 상황이 어려운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런 와중에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 단체협상에서 기본급 15만 4883원 인상,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만약 임단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파업을 할 경우 공장 가동률은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가 저조해지면 어느 공장이 더 많은 일감을 갖게 되는지 치열한 경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는 미국 수출용 엑센트를 울산공장이 아닌 멕시코 기아자동차 공장에서 생산을 하기로 했다. 현대차 측은 새로 출시되는 소형 SUV 코나를 생산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판단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GM의 일감 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제너럴모터스는 2013년 유럽에서 쉐보레를 철수하기로 했다. 유럽지역에서 평판이 좋은 오펠과 복수홀브랜드를 중심으로 사업을 하겠다는 것이다. 유럽에서 쉐보레가 철수를 하는데 유탄은 유럽 수출 물량을 생산해온 한국GM이 맞았다.

한국GM는 지난해 12조 234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보다 2.5% 늘어난 수준이다. 영업손실은 5311억원, 당기순손실은 631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신형 말리부, 신형 크루즈를 내놓으면서 내수 시장에서는 선전을 했지만 유럽 시장 철수로 수출 물량이 줄었다. 한국GM의 연간 완성차 수출은 2013년 63만대에서 지난해 42만대로 감소했다. 수출 물량은 줄었는데 인건비 등 비용은 지속적으로 올라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크루즈와 올란도를 생산하는 군산공장의 경우 판매가 기대에 못 미쳐 공장 가동률이 50% 미만으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은 7월초부터 군산조선소 문을 닫기로 했다. 이유는 수주 물량이 충분하지 않아 지을 선박이 없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폐쇄가 아닌 잠정적인 작업 중단으로, 수주 물량이 충분히 늘어나면 향후 재가동한다는 게 회사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충분한 수주 물량을 확보해 군산조선소를 언제 다시 열수 있을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키는 가장 근본적인 해법은 생산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김현종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실장은 “생산성이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자리를 늘리면 지속 가능성이 없다”며 “제조 기업들이 해외로 나가는 이유는 다른 것도 있지만 국내 공장의 임금 대비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권순우(soonwoo@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