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심층리포트]'가치=0 vs 개화기' 가상통화 현주소와 미래는?

김이슬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김이슬 기자]
[앵커멘트]
최근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가상통화의 미래가치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본디 가치가 없기 때문에 0에 수렴할 것이라는 비관론과 조정을 거쳐 개화기를 맞을 거란 낙관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혼돈의 가상통화 시장,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요? 경제금융부 김이슬 기자 함께 얘기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 최근 세계 각국의 규제 공세에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버블이 꺼졌다고 봐야 할까요?

기자> 1월 초쯤 업비트 기준으로 2800만원선까지 올랐던 비트코인 가격은 600만원대까지 급락했습니다. 최근 들어선 1000만원 안팎에서 움직이면서 어느정도 회복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초만 해도 50~60%에 육박하던 '김치 프리미엄', 그러니까 한국에서의 가상통화 가격이 유독 높게 형성되던 과열 양상도 상당 부분 해소됐습니다.

오전 8시 반 기준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약 1000만원으로 미국 거래소 비트렉스(970만원)와 비교하면 김치프리미엄은 5% 미만으로 낮아졌습니다.

가격 급락의 주된 배경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규제 공세를 버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말 가상통화 신규거래를 차단했고, 법무부를 필두로 거래소 폐쇄안까지 거론된 상황에서 은행을 통한 실명제 등이 실시됐습니다.

지난해부터 거래소를 폐쇄하는 등 규제 강도를 높이던 중국 정부가 지난달 채굴업체들에게 '질서있는 퇴장'을 요구하면서 가상통화 열기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저명한 경제학자들도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고 있습니다. 가치가 없기 때문에 0에 수렴할 것이라는 비관론에 무게를 싣고 있는데요.

골드만삭스도 최근 가상통화 시장을 90년대 닷컴 버블에 비유하면서 가상통화 가격이 이미 정점을 찍었고, 앞으로 지속 하락해 가치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앵커> 반면에 금융전문가들이나 블록체인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선 긍정적인 견해가 나옵니다. 단기 조정기를 거쳐 시장 성숙기가 도래해 다시 상승장을 연출할 거란 건데요. 근거는?

기자> 지난해 대한민국이 가상통화로 들끓면서 사람들이 오히려 올바른 정보를 습득하고 제대로 인식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실제 블록체인 업계에선 지난해 9월 국내 가상화폐공개, ico가 금지된 이후에도 해외에 법인을 세우는 식으로 꾸준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연구원이나 학회를 중심으로는 투자자산으로서 가상통화의 기능에 대한 연구.분석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가상통화에만 투자하는 연금회사가 있는데요.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자산포트폴리오를 구성할때 가상통화를 편입시키면 전체 위험성은 줄고 수익성은 높아지는 결과를 이끌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른 자산과의 상관관계가 0에 가깝기 때문인데요.

또 가상통화가 가진 민간화폐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고려해서 금융투자로서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임준환 /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화폐 또는 가상증권 투자자산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금 당장 가상통화에 대해 가격 급등락성이 큰건, 역사적으로 보면 금융의 초기시장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40배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윙클보스 쌍둥이 형제가 한 말인데요.

비트코인이 금을 대체할 것이라고 봤기 때문입니다. 현재 금 시장 규모가 7조달러(7655조원)대, 비트코인 시가총액이 1380억달러(약 150조원)이기 때문에 가치가 40배 상승할 거라고 예측한 겁니다.

세계 각국의 규제에 대한 진정성에 대한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표적으로 가장 강력한 규제책을 펴는 국가인 중국의 이중적 행보를 지적하는 건데요.

중앙은행인 중국 인민은행은 가상화폐 초기 모형을 제작해 시범 운영까지 마치는 등 가상통화 발행 준비작업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블록체인 관련 지식재산권을 가장 많이 출원한 곳도 중국이었는데요. 상위 3위권을 보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1위를 차지했고, 3위가 인민은행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빠르면 올 하반기에라도 중국 인민은행이 법정 디지털화폐를 발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모든 국가들이 가상통화에 부정적인 것도 아니죠. 스웨덴 네덜란드 등 유럽국가와 일본 등에선 가상통화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유는?

기자> 공통적인 배경을 꼽자면 '마이너스 금리' 도입 때문입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후 주요국 중앙은행에선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까지 끌어내렸고, 유럽중앙은행과 일본은행은 마이너스금리를 도입했습니다.

금리가 오른다지만 스웨덴의 정책금리가 -1.5%이고, 일본은 10년짜리 국채가 0% 대입니다.

마이너스금리는,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금융사가 중앙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는데 반해 오히려 돈을 물리는 건데요.

돈을 맡기지 말고, 기업이나 개인에게 빌리도록 해서 소비를 유도해서 경제를 살리려는 취지입니다.

그런데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서 사람들은 은행에 예금하기를 꺼리고 5만원권으로 바꿔서 현금 보관해버립니다.

정책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종이 지폐는 정부나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골치덩어리가 되버리는데요.

이때문에 디지털 법정화폐가 대안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던 겁니다.

디지털화폐 계좌에 수수료를 부과해서 일률적으로 가치를 떨어뜨리면 소비에 나설수밖에 없고, 또 세원 구멍이 없어지기 때문에 불법거래 추적이 용이합니다.

지난해 폐기처리된 화폐를 대체하는 비용이 617억원이 들었는데요.

중앙은행 입장에서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면 화폐 주조 비용과 관리비용을 줄이면서 이익을 늘릴수있는 효과도 있습니다.

현재로선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흐름을 보이면서 디지털 법정화폐 논의는 다소 사그라들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가상통화로의 전환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이슬 기자 (iseul@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