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심층리포트]②갈 길은 구만리…"한국형 제조 혁신 모델 필요"

박수연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수연 기자]

[앵커멘트]
좀 더 자세한 이야기 산업부 박수연 기자와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현황은 어떤가요.

기자) 2022년까지 2만개를 보급한다는 정부 목표가 달성될 경우 10인 이상 제조중소기업중 3분의 1이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의 스마트공장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도화된 생산체계를 갖춘 시스템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현재 국내 구축돼 있는 스마트공장은 대부분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걸음마 수준입니다. 통상 스마트공장 수준을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 이렇게 4가지로 구분 짓는데요.

단순히 생산정보만을 디지털화한 수준인 기초단계가 76%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했고요. 생산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간 2 단계 수준은 2.1%에 불과했고 고도화 단계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술력도 해외와 비교하면 상당히 부족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보다는 센서나 로봇 등 하드웨어 기술력이 선진국에 대비 40% 정도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또 청년의 제조업 기피나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력 구조를 갖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스마트공장의 전문인력도 상당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앵커) 일단 도입만 하면 생산성 향상에는 크게 도움이 될 텐데, 중소기업계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기자) 대기업들은 이미 ICT를 적용해 제조 현장을 바꿔나가고 있지만 중소기업들에게는 스마트공장 도입이 쉽지 않습니다.

일단 비용 문제가 가장 큽니다. 정부의 지원이 있다고 해도 소기업의 경우 몇천만의 투자액은 상당히 부담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인데요. 이 때문에 규모별 지원금을 다르게 해야 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서상 진입장벽도 있습니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뿐더러 도입을 통해 얻게 될 성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현장에 가보면 특정 산업과 공정에 대해 이해를 갖춘 솔루션 공급업체를 찾기 힘들다는 의견들도 상당해 기업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시스템 공급이 중요하다는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앵커) 정부가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건다고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기자) 정부는 앞으로 매년 3000개의 스마트공장을 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리고 현재 중기부는 기업당 사업비의 50%, 최대 5000만원씩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중기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예산은 596억원에 불과해 목표치의 절반을 겨우 채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현재 스마트공장을 담당하는 부서는 산업부와 중기부로 나눠져 있는데요. 부처 간의 원활한 협업뿐 아니라 공식적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나옵니다. 중소기업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통합 지원받을 수 있는 일원화된 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앵커) 앞으로 스마트공장 보급이 어떤 방향으로 추진돼야 할까요.

기자) 독일의 경우 지난 2011년부터 인더스티리 4.0 슬로건 하에 일본은 소사이어티 5.0이라는 비전하에 큰 밑그림을 세운 후 중소기업들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는 4차 산업혁명 선두 국가로 지정될 만큼 대응을 잘하고 있는데요. 좁은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를 스마트 시티 개념을 통해 극복하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외의 선진화된 기술을 도입하고 스마트 환경 구축을 위한 전략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길선 / 서강대학교 교수 : 중소기업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고 협업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명료하게 만들어가는 게 한국적인 상황에서 굉장히 큰 도움이 될 거로 생각합니다. 쉽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플랫폼을 보급형으로 하고 그다음에 맞춤형으로 시간을 두고 생각을 해나가는 방향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는 한국 실정에 맞는 한국형 제조혁신 모델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표준화 작업이나 플랫폼의 구체화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등 체계적인 전략을 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