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위기의 지방 부동산]시장 침체 남의 일…규제 무색하게 핫한 서울·세종

이애리 기자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이애리 기자]

[앵커멘트]
서울 강남 등 폭주하는 투기과열지구의 집값을 잡기 위해 내놓은 부동산 규제가 지방 부동산 시장을 옥죈 결과를 낳았죠. 반면 타깃이었던 서울과 세종시 부동산 시장은 수요가 더 몰려들면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데요. 특히 똘똘한 한 채가 대세가 되면서 서울과 세종시 청약시장은 구름떼 인파가 몰리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지방 부동산 긴급 점검, 오늘은 그 네 번째 순서로 이애리 기자가 양극화 되고 있는 국내 부동산 시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올해 대표적인 로또청약으로 꼽혔던 '디에이치자이 개포'.

주변 시세보다 낮은 분양가로 청약 당첨만 되면 최소 3억~4억원의 시세차익이 가능하다는 소식에 청약 광풍을 몰고 왔습니다.

전 가구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해 중도금 대출 지원이 불가하고, 정부의 자금출처와 위장전입 등 강도 높은 조사 예고에도 불구하고 평균 25대 1, 최고 9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로또청약 광풍은 서울 강남뿐 아니라 강북지역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분양한 '당산 센트럴 아이파크'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80대 1로 올해 서울 분양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경신했습니다.

이같은 청약 광풍의 배경은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의 분양가 규제 때문입니다.

정부는 부동산 과열을 막기 위해 분양가 규제에 나섰는데, 새 아파트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낮게 책정돼 억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게 되자 안전자산 구매심리가 작용된 것입니다.

[권대중 /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교수 : 인근 지역의 집값이 오르기 때문에 분양을 받고 난 이후에 인근 집값보다 낮은 가격으로 분양 받아서 로또라는 말이 나오거든요. 분양받고 돌아서면 프리미엄이 한 5천만원에서 1억원씩 올라가기 때문에….]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이 뜨거운 건 서울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23개월 연속 미분양 제로를 이어가고 있는 세종시 역시 청약 광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세종시에서 분양한 '트리쉐이드리젠시’의 청약 경쟁률은 55대 1로 전국 5위를 차지했습니다.

집값도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세종시의 집값은 4.29% 상승하면서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률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8.2 부동산 대책 등 집중 타깃이 되기 전인 2016년 0.79%보다 상승 폭이 더 커진 데다 서울 상승률 3.64%를 상회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서울과 세종시를 제외한 수도권과 지방 외곽은 딴 세상 이야기입니다.

기업 구조조정 여파로 지역 경기가 꺾인 가운데 공급과잉과 규제강화 등이 겹치면서 직격탄을 맞은 모습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말 기준 지방 미분양 주택은 5만933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나 급증했습니다.

이렇게 지역별 온도 차가 극명한 것은 양도세 중과 등 각종 주택시장 규제로 시장 참여자들이 돈이 되는 곳에만 집중하는 '똘똘한 한 채' 전략이 대세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발 빠른 다주택자들은 서둘러 지방 주택부터 팔아치우고 서울 요지의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과 청약과열을 몰고 왔습니다.

[김규정 /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 : 상대적으로 장기보유의 경우에는 양도세 절감이라던가 양도차익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형성될 수 있어서 투자성이 불확실한 다수의 주택을 여러 가지 보유하기보다는 확실한 수익성을 돌려줄 수 있는 안전한 자산으로써의 아파트나 재건축 같은 데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 집값과의 전쟁'까지 언급하며 내놨던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가 오히려 서울은 더 활황기를, 지방은 암흑기를 초래하면서 지역별 양극화는 더 심화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애리(aeri2000@naver.com)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