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주주들 환호할 수록 깊어지는 삼성의 고민 왜?

박지은 기자

뉴스의 이면에 숨어있는 뒷얘기를 취재기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뉴스 애프터서비스, 뉴스후
thumbnailstart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지은 기자]

[앵커멘트]
뉴스의 이면에 숨어있는 뒷얘기를 취재기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뉴스 애프터서비스, 뉴스후 시간입니다.

오늘은 금융회사의 계열사 지분 매각 이슈를 살펴봅니다. 콕 짚어 말하면 삼성생명 등이 보유한 삼성전자의 지분을 팔라는 건데 무려 20조원이나 되는 규모입니다. 정부와 정치권 일부의 압박이 삼성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왜 이런 요구가 나오고 있는지 과연 삼성은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박지은 기자.


[기사내용]
앵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에 이어 이번엔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이 문제를 다시 꺼내들었어요?

기자)네. 지난 주말이었습니다. 최종구 금융 위원장이 간부 회의에서 "금융회사의 대기업 계열사 주식 소유 문제는 법률이 개정되기 전이라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방안을 적극 강구"하라고 했는데요.

최 위원장이 말하는 금융회사와 대기업 계열사는 삼성생명과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생명이 들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식을 팔라는 건데요.

이 이야기는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도 계속언급해온 사안입니다. 다만 2주전 김 위원장이 지분 해소의 현실적인 문제를 언급하면서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취지의 말을 하면서 삼성으로선 조금 숨을 돌렸는데, 최 위원장이 이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면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 이 사안의 핵심이 뭔지 먼저 핵심만 짚고 넘어가도록하죠. 왜 문제가 되는 거고 얼마를 팔라는 겁니까?

기자) 우리나라는 금산분리 법이 있지 않습니까. 금융산업의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라고도 하는데요. 이 법에 따르면 같은 그룹 내에 속하는 금융사는 다른 계열사의 지분 10% 이상을 보유할 수 없습니다.

현재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의 지분은 각각 8.27%, 1.45%인데요. 합쳐서 9.72% 정도 됩니다.

문제는 삼성전자가 지금도 계속 자사주 소각이라는 걸 하지 않습니까. 이건 주주환원 정책의 하나인데요.

자사주를 소각하면 전체 주식수가 줄고 그만큼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올라가는 효과가 나타나죠.

올해만 소각을 약속한 지분이 약 7% 가량 있는데요. 이걸 계획대로 다 소각하면 생명과 화재의 지분율도 덩달아 10.4%로 올라가는 겁니다.

따라서 법에서 정한 비율을 넘기는 0.4% 만큼은 생명이나 화재가 일단 어떤 식으로도 해소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0.4%만 팔면 문제는 없어지는 셈인데 이게 다가 아니죠? 전부를 팔라는 거죠?

기자)네. 정부에서는 삼성생명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식, 규모로 보면 한 20조 원이 되는 지분을 팔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지금 보험법상으로 금융사는 계열사의 지분을 총자산의 3% 정도만 보유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법을 해석하면서 발생했는데요.

보험법상으로 현재는 이 지분 가치를 장부가로 계산하게 돼 있습니다. 그래서 삼성생명이 삼성전자를 사들일 당시 주가였던 5만 원을 가치로 계산해 1060만 주 정도를 가질 수 있게 된 건데요. 이걸 시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겁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로 환산하면 지금 장부에 5,000억 원 정도로 적혀 있는 게, 단숨에 28조 원 규모로 늘어나게 되는 겁니다.

삼성생명의 총자산이 220조 원(일반계정)인데, 이중 3%면 한 6조 원 정도입니다. 그래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식 약 28조 원 중 6조 원 정도만 빼고 다 팔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겁니다.


앵커) 삼성생명으로선 꾸준히 지분을 늘려온 것도 아닌데 어느 순간 시가로 계산해서 다 팔아라는 요구를 받는 셈이군요?

기자)네 그렇습니다. 일단 삼성생명이 가지고 있는 주식은 거의 다 1990년대 이전에 매입한 것입니다. 그 이후 주식수도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다만 변한 건 삼성전자의 주가입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시가로 계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다보니 삼성으로선 대응책을 못찾고 있는 셈이죠.

그런데 이 이슈가 자꾸 부각되는 게 다름아닌 주주가치 제고차원에서 단행한 자사주 소각때문이라는 점이 아니러니한 상황입니다. 주주환원 책을 내지 않았다면 10%룰에 부딪칠 일도 없었던 겁니다.

주주들은 삼성전자의 주가가 크게 오르고, 또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해 실제 이익으로 환원까지 해주니 좋은데, 삼성그룹 입장에서는 오히려 생각지 못한 고민거리가 된 겁니다.

게다가 정부 요구대로 이걸 다 팔면 삼성전자 주주들에게도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그 20조 원이 되는 물량을 해소하기에 삼성으로선 방법이 아주 제한적인 겁니다.

삼성 입장에서는 법 개정 작업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다 가이드라인 조차도 없는데 구체적인 대응책을 내놓으라고 압박만 받고 있는 답답한 상황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