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5G 글로벌 표준 확정"…이통3사, 상용화 경쟁 스타트

박소영 기자

13일(현지시각) 미국 라호야에서 개최된 3GPP 80차 무선총회의에서 KT 융합기술원 황정우 책임연구원이(사진 오른편 마이크 옆) 주파수 기술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5G 이동통신 글로벌 표준이 확정됐다. 이통3사들은 이번 5G 국제 표준 확정을 계기로 본격적인 상용화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14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이통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미국 라호야에서 열린 ‘3GPP 기술 총회에서 5G 표준이 승인됐다. 총회에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사 및 글로벌 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 50여개 업체가 참가했다.


이번 5G 글로벌 표준은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 모든 영역을 5G로 처리하는 ‘5G 단독’(SA, Standalone) 규격을 포함한다. 지난해 12월 승인된 ‘5G+LTE 복합’(NSA, Non-Standalone) 규격은 기존 네트워크(LTE)와 5G 기술을 융합하는 것이었는데, 이번에 승인된 규격은 오로지 5G 네트워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KT는 이번 무선 총회에서 NSA(Non-Stand Alone)와 SA(Stand Alone) 주파수 기술이 총 망라된 28㎓ 주파수 대역 연구보고서(TR:Technical Report) 최종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국내 5G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28㎓ 대역이 세계 최초의 5G 초고주파 표준 대역으로 정식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KT는 3GPP 5G 연구과제 초기 논의단계부터 28㎓ 대역의 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진행해왔다. 이번 총회에선 우리나라 5G 상용 주파수인 3.5㎓와 28㎓간 연동기술 표준도 제안했고, 해당 기술의 조기상용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외에도 KT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인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NSA와 SA 기술을 모두 포함하는 ‘평창 5G 규격’을 개발, 이를 바탕으로 한 5G 서비스를 구현한 바 있다.


5G 글로벌 표준이 확정되면서 5G 상용 단말·장비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세계 ICT 기업들은 3GPP에서 합의한 글로벌 표준에 따라 기지국·단말 등의 상용 장비를 개발한다.


KT는 올해 초 글로벌 제조사를 대상으로 5G 제안요구서(RFP)를 발송하고, 6월부터는 주요 제조사들과 함께 개발한 NSA 규격 기반의 5G 상용수준 장비에 대한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서창석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KT는 기술 표준 외에도 상용 기술 등 5G 기술 전 영역에 있어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5G 기술력을 기반으로 2019년 3월 세계 최초 5G 상용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역시 5G 1차 표준이 완성되기까지 ▲빔포밍, 대용량 다중입출력장치 등 전파 송·수신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대용량, 초저지연 데이터 전송 기술 등 5G 핵심 기술을 3GPP 회원사에 공유하며 표준 완성에 기여했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세계 이통사, 제조사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5G 글로벌 표준이 적시에 완성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5G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회사들과 함께 모바일 혁신을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5G 국제표준 확정을 계기로 5G 상용망 구축 및 상용서비스 준비를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확정된 NSA 표준은 물론 새로 확정된 SA 표준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장비 제조사인 노키아, 단말칩셋 제조사인 퀄컴과 함께 핀란드 노키아 본사에서 5G 국제 표준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연에 성공한 바 있다.


최주식 LG유플러스 5G추진단장은 "이번 표준 확정을 계기로 5G 네트워크 구축과 상용화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5G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소영 기자 (cat@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