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남·북·러 3각 에너지협력, 이번엔 다를까

박경민 기자

러시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현지 시간) 모스크바 크레믈린 대궁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방문을 계기로 우리나라와 러시아, 북한의 3각 에너지 협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한-러 양국은 남·북·러 3각 협력을 위한 전력·가스분야 한·러 공동연구 등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전력분야에서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와 러시아 에너지부는 한-러 전력계통 연계와 관련한 공동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가스분야에서는 양국 가스사인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가즈프롬은 한·러 가스관 연결과 관련한 공동연구에 합의했다. 이를 통해 사업의 경제성과 기술성에 대한 검토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양 국 정부의 합의와 협력으로 전력·가스 협력에 대한 가능성과 기대감은 어느 때보다 높다. 과거 오랫동안 추진돼 왔지만 뚜렷한 실체 없이 소문만 무성했던 전력·가스분야의 실질적 협력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에너지 협력…韓 신북방정책, 러 동방정책 접점
무엇보다 에너지 분야는 단순히 평화를 위한 포석이나 상징적인 협력이 아닌 북방정책을 추진하는 우리나라와 동방정책을 추진하는 러시아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분야라는 점에서 협력의 가능성이 높다.

현재 러시아는 해외 수출을 통한 경제 부흥이 필요하다. 경제제재와 저유가로 최근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특구와 유사한 선도개발구역,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제도를 도입하며 외자유치를 통한 극동개발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북한시장 개방시 러시아 극동지역은 신북방 비즈니스의 메카로 전환돼 가치가 급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남북러 경협의 시발점이자 우리 경제가 대륙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톡톡히 할 전망이다.

오영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남북러 합의시 3년 내에 러시아 PNG를 한국에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중국과 러시아의 가스관 연결 사례를 볼 때 지형 조사 및 설계에 1년, 건설에 1년, 테스트에 반년 정도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 문 대통령이 "북한이 꼭 협력하지 않더라도 일단 북한을 통하지 않고 한·러 간에도 할 수 있는 사업을 하자“고 전한 것도 그간 북핵문제 등 남북정세로 무산됐던 사업의 성공에 힘을 싣는다.

북한을 통과하지 못하더라도 대륙과 에너지망을 연결하는 것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를 공고히 구축하는데 필수적이다. 전력업계·가스업계에서 대륙과의 에너지 연계를 ‘숙원’이라고 일컫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유사시 北 통제방안 수반돼야
한-러 에너지협력은 비핵화 의지를 보이고 있는 북한에 일종의 '보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국을 통과하는 인프라를 건설하는데 노동력을 공급하고, 향후 일종의 ‘에너지 통행세’를 받으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북한 입장에서는 극심한 에너지 부족 현상을 극복하고, 산업 발전과 경제 부흥을 위한 발판으로 전력망과 가스관 사업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에너지 협력을 비롯한 경협의 성공을 위해선 북한이 '정상국가'로서 일관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관적 견해다.

업계 관계자는 "전력망 연결이든, 가스관 연결이든 여러 국가를 지나는 인프라 사업은 이해관계가 모두 다르고, 협의해야 할 부분도 산적해 있어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며 "과거에도 수차례 논의됐던 슈퍼그리드, PNG 도입이 경제적, 기술적 문제가 아닌 남북한의 정치적 문제로 번번이 무산됐던 선례를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협력 이후 북한을 통제할만한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마땅한 통제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에너지 도입선 일부를 북한에 내줄 경우 남북관계가 냉각될 경우 북한이 이를 무기로 압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NG 도입을 가정할 때 북한이 가스관을 차단할 경우 계약물량을 우회 수입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북한 전력망과 가스공급을 러시아 등에서 통제할 수 있는 조건을 붙여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오영일 수석연구원은 북한의 가스관 차단시 계약물량을 사할린, 북극해의 LNG로 대체공급하는 방안, 북한 전력공급을 위해 가스발전소를 건설하고, 러시아가 대북 가스공급으로 북한 전력을 통제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