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한국인 '웰빙' 지수 낙제점…23개국 중 '꼴지'

최보윤 기자




한국인의 '웰빙' 지수가 세계 주요 23개국 가운데 최하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라이나생명의 모그룹인 '시그나그룹'은 주요 23개국을 대상으로 '건강과 웰빙' 전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시그나360°웰빙지수'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시그나360°웰빙지수 설문조사는 웰빙에 대한 인식 전반을 비롯해 5가지 핵심 부문(신체건강, 사회관계, 가족, 재정상황, 직장 관련 건강 및 복지)에 대한 질문으로 지난 2~3월 동안 한국, 미국, 중국, 영국 등 23개 국가에서 만 18세 이상 성인 1만4,467명(한국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올해로 4번째 시행된 서베이의 조사 결과, 한국인의 웰빙 지수는 51.7점으로 지난해 53.9점보다 낮아져 2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세계 평균은 61.2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자리를 제외한 4개 설문항목에서 모두 점수가 하락했다. 2016년에 비해 더 힘든 삶을 살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원래 최하위 수준이던 재정문제와 함께 사회관계, 가족 부문에서 큰 폭으로 하락하며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영향으로 올해는 10개국이 추가되었음에도 압도적인 최하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바로 위에 자리한 홍콩은 56.8점으로 5점이상 차이가 났다.

국가별로 보면 인도(70.4점),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65.1점)이 최상위에 자리 했다. 한국을 비롯해 영국, 싱가폴, 홍콩, 대만 등 경제적으로 발전된 국가들이 하위권을 차지 한 것도 주목할 만 하다.

경제와 사회발전의 정도와 관계없이 삶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와 국민성에 따라 웰빙에 대해 느끼는 기준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한국은 5개 영역 모두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인도는 모두 1위에 올랐다.

나이대별로 살펴보면 샌드위치 세대인 35-49세의 지수가 50.3으로 가장 낮았다.(18-34세 54.0, 50세 이상 51.9) 이 연령층은 50세 이상이 최하위인 재정을 제외하고 전 부문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가족부문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는데 응답자의 대부분은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부모, 자녀, 배우자에 대한 케어와 재정적 뒷받침 항목의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답을 한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를 보였다. 대다수의 3, 40대가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 부양과 양육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며 심리적,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30~40대가 부모의 부양을 짊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이 들어 나를 돌봐줄 사람은?'이라는 질문에는 전 연령에서 단 7%만이 '자녀들'이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응답자의 50%가 '배우자'라고 답했으며 '아무도 없다'는 답변도 26%에 달했다. '자녀들'이 7%로 세번째이며 도우미(6%), 의료시설(4%), 친구(3%), 친척(2%), 손자(1%)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재정 부문에서만은 50대 이상의 웰빙 지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국인 전체 평균은 43.4였고, 세대별로 봤을 때 50대 이상이 42.5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18-34: 46.2, 35-49: 42.7, 50+: 42.5)했다.

지난해에 비해 현재 경제적 상황에 대한 만족도(2017년: 9, 2018년: 11)는 높아졌으나 부모 의료비(2017년: 8, 2018년: 6)와 퇴직 후 경제 문제(2017년: 7, 2018년: 6)에 대한 걱정은 다소 많아졌다.


50대 이상의 재정지수가 가장 낮은 데에는 은퇴 후 준비 부족, 사회복지제도 미비 등의 한국적 특수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노후에 대한 준비도를 묻는 질문에도 50대 이상에서는 노후 준비가 20%도 준비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빈곤 문제와 의료복지체계의 정립이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만족도는 지난번 58.4에서 올해 59.5로 유일하게 행복 지수가 높아진 분야다. 특히 합리적인 업무량과 시간(32→38), 직업 안정성(33→38), 워라밸(35→38) 등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한 비율이 높아진 것이 눈에 띈다. 그밖에 커리어, 급여만족도, 직장 내 복지 등에서도 약간씩 비율이 높아졌다.

이는 저녁이 있는 삶을 강조하는 '워라벨' 열풍과 노동친화적인 정책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세계평균 69.1점과는 여전히 차이가 크다.
또 스트레스는 행복을 저해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로 한국(97%)의 스트레스 지수는 23개국(평균 86%)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원인은 일(40%), 돈문제(33%), 가족(13%) 순으로 일과 돈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73%나 차지했다.

많은 이들이 주로 잠을 자거나 가족, 친구, 동료와의 수다를 통해 스트레스를 폴고 있었으며 쇼핑이나 운동을 즐기기도 했다. 스트레스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78%)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19%)의 스트레스 해소법에도 차이가 났다.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주로 운동과 수면을 통하는 반면 관리 할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폭식이나 음주로 해소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12%에 불과 했으며 그 중 35-49세는 10%로 가장 적었다.

35-49세가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음에도(일에 대한 스트레스 만족도 18-34: 34, 35-49: 21, 50+: 30)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아울러 '직장에서 건강과 스트레스에 대한 도움을 제공 받고 있냐'는 물음에 무려 71%가 '아니오'를 선택했다. 글로벌 평균 51%와 크게 차이 나는 수치로 직장에서 직원의 신체, 정신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나생명 관계자는 "직장에서도 사회와 함께 구성원의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최보윤 기자 (boyun7448@naver.com)]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