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자율주행차 달리고 세계적 스타트업 자란다'…스마트시티 공개

정부, 세종5-1·부산에코델타시티 시범도시 선정…2019년 하반기 착공 이후 2021년 입주 예정
문정우 기자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에 대한 큰 그림이 마련됐다. 세종 5-1 생활권은 개인 차량이 아닌 자율주행차량이나 공유차량이 통해하는 도시로,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세계적인 '한국형 물순환 도시모델'로 내세우겠다는 구상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상암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시범도시 마스터플래너(MP), 유관부처 및 지자체(세종·부산시), 사업시행자(LH·K-Water)와 함께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의 핵심은 규제 개선에 맞춰졌다. 정부는 민간기업 참여와 자유로운 실험 공간을 제공하고, 실증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도록 규제 샌드박스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도시법' 개정안의 연내 국회 통과를 추진한다.

공공 부문에서 선제적 투자도 이뤄진다. 정부는 시범도시가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며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로 조성될 수 있도록 추가되는 사업비 중 국가 지원이 인정되는 분야에 한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세종 5-1 생활권은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를 비전으로 7개 혁신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중 핵심요소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이다. 드론과 자율주행차량, 로봇배송 등 다양한 미래형 수단이 도입된다. 공유기반 교통수단과 5G 기반 교통흐름 데이터의 인공지능(AI) 분석으로 이동 시간과 비용도 절감된다.

데이터 기반의 개인 맞춤형 의료 시스템이 운영되고, 에듀테크를 통한 온-오프라인 교육환경이 제공된다. 스마트그리드, 제로에너지빌딩 등 태양광을 활용한 청정에너지로 에너지 부문에서 자립할 수 있는 환경도 구성된다.

특히 공유자동차 시스템이 도입된다. 모든 소유 자동차는 세종 5-1 생활권으로 진입하는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량과 공유차량이나 자전거 등을 이용해 이동하게 된다.

기존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되는 방식도 사라진다. 기존 '지역 지구제'에서 벗어나 리빙·소셜·퍼블릭으로 구분한 복합용도 개발을 위해 '형태기반코드(Form Based Code)' 기반 통합적 도시관리가 적용된다.

부산 에코델타시티의 개발 비전은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다.

이를 위해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 ▲친환경 물 특화 도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 등 3대 특화 전략이 제시됐다.

산업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테크샌드박스'(SCTS; 스타트업·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지원)를 운영해 스타트업을 글로벌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한국형 물순환 도시모델'로 만들기 위해 스마트 정수장, 에코필터링 등의 스마트 물관리 기술과 VPP(가상발전소) 서비스, 수열에너지와 스마트 트램, 맞춤형 교통신호제어 등 에너지와 교통 역시 친환경 시스템이 반영된다.

시민이 직접 도시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인 '스마트시티 1번가'가 운영된다. VR(가상현실)·BIM(3D 입체 설계 시스템) 기술을 통해 시민이나 전문가가 도시 계획부터 운영·관리 단계까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총 사업비는 세종시 7,000억원, 부산은 1조원 규모로 예상되며, 추가되는 사업비는 확정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산정해 향후 조성비에 반영할 예정이다.

정부는 연말까지 시범도시 시행계획을 세우고 교육부, 문체부 등 부처별 참여 범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내년 상반기 중으로 실시설계가 마무리되면 하반기부터 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 건축물 공사가 2020년쯤 진행되면 이르면 2021년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손병석 국토부 1차관은 "앞으로 기본구상을 보완하고 발전시켜 공공·민간 등 주체별 역할 등을 구체적으로 담은 시행계획을 연내 마련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