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인공지능 이번엔 '신약'…AI기반 신약개발에 뛰어든 제약업계

박미라 기자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한층 더 속도를 낼 전망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기업들을 비롯한 스타트업이 연구 개발 제휴 등을 통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다양한 신약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신약개발은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산업 분야로 꼽힌다.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다 해도 신약개발이나 기술구현에 실패할 확률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5000~1만 여 개의 신약후보 물질 중 단 9개만이 임상에 진입하고, 그중 신약 하나만이 최종적으로 판매허가를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AI를 신약개발 연구에 활용하면 평균 10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실패를 줄일 것으로 전망한다.

임상 단계 이전에 신약후보물질의 효능과 부작용을 충분히 검증해 실패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제약·바이오 업계는 다각도에서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인공지능 기반 약물 설계(Drug Design) 플랫폼 개발을 완료했다.

이 플랫폼은 회사가 지난 20여 년간 축적해온 중추신경계에 특화된 방대한 연구 자료와 연구원들의 경험을 토대로 학습해 신약개발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SK㈜ C&C와 사업계약 체결 후 협업을 통해 완성했다.

회사 측은 "현재 약물 특성 등을 예측하는 기술을 이미 나와 있다"며 "예측을 뛰어넘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특허가 가능한 새로운 화합물을 설계하는 시스템은 SK바이오팜의 약물 설계 플랫폼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개발된 플랫폼 기술을 통해 신약후보 물질 발굴 프로세스를 가속화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JW중외제약은 신테카바이오와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AI 플랫폼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 돌입했다.

두 회사는 신테카바이오가 보유한 개인 유전체 맵 플랫폼(PMAP)의 약물 반응성 예측기술을 활용해 신약후보 물질의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등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재생의학 분야와 개발·판매 중인 의약품 적응증 확장 연구에도 신테카바이오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다.

JW 중외제약 관계자는 "신테카바이오와 함께 영양공급 및 면역증진 관련 종합 영양수액제, 진단 시약을 개발하는 등 정밀의료 영역까지 연구 분야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신약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업은 스타트업만 100여 개 이상이 설립돼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 인공지능 분야 스타트업들이 제약사와 제휴해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미라 기자 (mrpark@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