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15년만에 첫 삽 뜨는 '재난망' 사업…관건은 음영지역 해소

박소영 기자

KT 재난 안전 솔루션 스카이십. /사진=KT


15년 간 표류했던 재난안전통신망이 본궤도에 올랐다. KT와 SK텔레콤 컨소시엄이 입찰에 성공하면서 이달 중 본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까지 3단계를 거쳐 망구축이 완료되면 재난에 특화된 무선 전용망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왜 재난망은 15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첫 삽을 뜨게 됐을까. 시작은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소방, 경찰, 지방자치단체 등의 무선통신 체계가 서로 달라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통합망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재난망은 경찰과 소방, 지자체, 해양경찰, 군, 의료 등 33개 재난 관련 기관들이 사용하는 전용 통합 무선망이다. 망을 일원화하면 일사분란한 지휘 체계를 갖출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과정은 그리 순탄하지 못했다. 2005년 시범사업이 시작됐는데 기술종속과 특혜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 당시 도입한 기술은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T)가 개발한 '테트라'였는데 미국 모토로라가 이 분야 선두를 달리고 있어 종속성 우려가 컸다. 이후 감사원에서 이를 감안해 사업을 중단시켰지만 대안 기술이 없고, 정치권에서도 마땅한 대응을 찾지 못했다.

이후 와이브로가 대안 기술로 떠올라 2012년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차까지 거쳤지만 결국 두 기술 모두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후 2014년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재난망은 한 번 더 추진력을 얻었다.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TF를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작업에 착수했다.


미래부는 2014년 6월 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 결정을 위한 정보제안서를 공개 모집했고, 이 중 기술 검증과 시스템 및 단말기 개발이 수월한 PS-LTE 기술이 최종 확정됐다. 이후 주파수 할당 등을 거쳐 우여곡절 끝에 재난망 본사업 입찰이 진행됐다.

이어 행정안전부는 지난 18일 재난망 A·B사업구역 구축·운영·유지보수 우선협상대상자로 KT, C사업구역 우선협상대상자로 SK텔레콤을 각각 선정했다.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는 KT다.

2020년까지 진행되는 망구축. 전문가들은 음영지역 해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재난망인 만큼 통신 공백이 생겨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한정된 예산으로 음영지역을 최소화해야하는 만큼, 현재 구축해놓은 기지국을 200% 활용하는 묘안이 필요하다.

우선 건물 내부나 도서 산간 지역에서 핸드오버가 잘 이뤄지는지 점검하고 철도통합망(LTE-R), 해상망(LTE-M)과 연동을 통해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다.

특히 드론과 로봇 등과의 연계를 통한 신속한 구조 활동 솔루션, 재난 앱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들까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재난망이 처음 논의되던 때보다 첨단 기술이 발달하면서 드론, 로봇 등을 응용한 다양한 재난 솔루션들이 나왔다"며 "테트라 대신 LTE 기반의 재난망을 잘 구축한다면 향후 수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소영 기자 (cat@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