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특이한 기자들] 우리은행, '평균 70세' OB 격전장…정부 '교통정리' 어디까지?

조정현 기자

취재현장에서 독점 발굴한 특종,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슈. 특종과 이슈에 강한 머니투데이 방송 기자들의 기획취재
thumbnailstart


기자> 우리은행이 지주 전환을 추진 중인데요. 아직 확정도 안된 지주 회장직을 놓고 과열현상이 빚어지면서 여러 잡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 한 자리를 했던 올드보이들이 자천타천으로 나서면서 금융위가 개입을 공식화하고 금융위원장은 경고장을 날렸습니다.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편때마다 불거지는 관치 논란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재현되고 있습니다.

앵커> 말씀대로 금융사, 특히 은행의 경우에 특히 이런 관치, 낙하산 논란, 또 올드보이들의 자리다툼 논란이 자주 나오는 것 같은데요. 사실 우리은행 구조를 보면 또 이런 논란에 취약한 것 같기도 하죠?

기자> 네, 우리은행이 내년 초 출범을 목표로 금융지주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우리은행의 주주 구성이 다른 은행들보다는 조금 복잡합니다.

지난 2014년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당시 우리금융지주를 은행, 증권, 지방은행, 이렇게 3개로 쪼개 팔았는데요.

그 결과 우리은행에 7개 과점주주들이 들어왔고, 여전히 정부 보유 지분도 18.4% 아직 남아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지배구조 이슈가 나오면 정부 측, 과점주주 측 후보들이 난립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앵커> 이번에도 후보들이 상당하죠? 관치 논란 때문인지 일단 정부 측 인사는 없는 것 같던데, 그럼에도 정부 개입 논란, 낙하산 논란은 여전한 것 같고요?

기자> 지난 정권이긴하지만 전임 임종룡 금융위원장 당시에는 우리은행의 자율경영을 보장하겠다며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수차례 밝혔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진행됐던 우리은행장 선출 과정에서도 정부는 이런 기조를 이어갔는데요.

이번 회장 선출 과정에서는 다른 양상이 벌어지게 됐습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은행의 자율경영을 보장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시장 예상과 달리 입하겠다는 의사를 강하게 밝혔는데요.

지난주 국감에서 발언한 내용 직접 들어보시죠.

[최종구 / 금융위원회 위원장 : 여전히 우리은행에 대해서 18.4%라는 잔여 지분을 가지고 있는 주주이고 그런 국민 재산인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가치가 제대로 지켜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주로서의 책임이기 때문에 그와 직결된 지배구조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희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이 타당하고 그 의견을 어떻게 전달할 지 생각 중입니다.]


앵커> 정부 입장에서는 뭔가 교통정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렇게 느꼈을까요?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은행 지배구조에 개입하겠다고 지난주 국감장에서도 언급했고, 그에 앞서서 이달 중순에도 역시 같은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민간 회사에 대한 내용은 조심스럽기 마련인데, 의원 질문, 기자들 질문을 꺼리지 않고 거침 없이 얘기했는데요.

우리은행과 우리은행 이사회 측에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입니다.

최 위원장의 발언이 있기 전만 해도, 우리은행 이사회는 이달 초에 잇따라 간담회를 열어 지배구조 문제, 회장 선출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고요.

이 과정에서 "여러 직을 경험한 CEO 급의 경륜 있는 인사를 모셔야 한다, 회장과 행장을 분리해서 지주의 빠른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는 등의 얘기들이 나왔습니다.

그에 발맞춰 내가 경쟁력 있다며 십수명의 후보들이 거론되기 시작했고요.

이런 상황에 대해서 금융당국 수장이 직접 나서 경고를 준 상황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후보들이 난립하는 데 대해서, 자가발전도 많고,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며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습니다.


앵커> 정부가 이렇게 나오면 눈치를 안 볼 수가 없죠. 실제로 좀 잠잠해지겠네요?

기자> 지난 26일 열렸던 우리은행 이사회가 3분기 실적 등의 안건을 처리하기 위한 정기이사회였는데요.

하지만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향후 지주 전환에 대비한 지배구조 논의가 어느 정도는 있을 것이다, 라는 전망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일절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지고요.

이사회가 정부 눈치를 본 분위기죠.

우리은행 이사회는 다음달 초 금융당국의 지주 전환 인가가 나면 이후에 회장 선출 절차 등을 논의하기로 정리했습니다.

언론을 통해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던 우리은행 이사회 멤버들도 조용해진 분위기고요.


앵커> 금융위원장의 발언을 두고 엇갈린 의견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상 관치하겠다는 거다, 아니면 혼탁할 수 있으니 주주로서 최소한의 정리를 하겠다...어느 쪽으로 무게가 갈까요?

기자> 지주 전환을 하더라도 당장 명실상부한 금융지주로서의 진용을 갖추기는 쉽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은행의 구성상 은행 비중이 90%를 넘는데, 이를 다른 은행권 금융지주처럼 60~70% 선으로 맞추려면 과감한 M&A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실탄의 문제도 있고, M&A가 의지만 있다고 되는 문제도 아니고요.

실제로 우리은행이 지주가 되면 자본비율을 계산할 때 은행이 아닌 일반 금융권의 잣대로 평가를 받아서, 자산의 위험가중치가 높아집니다.

우리은행 안팎에서는 지주 전환 후 자본비율이 4~5%포인트 뚝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건전성 문제 때문에 많은 자본을 동원해 인수합병에 나서기가 어렵습니다.

정리하자면, 지주로 전환해도 1~2년 정도는 대형 M&A 이슈를 일으키기 어렵고 현재의 절대적인 은행 비중이 유지된다는 얘기인데요.

따라서 할 일도 별로 없을 회장직을 별도로 두지 말고 은행장과 회장의 통합 체제로 가는 게 맞다는 여론도 상당합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굳이 회장직을 분리를 해야할 지 생각해 봐야 한다, 라는 발언을 해서 아무래도 정부 측은 겸직에 무게를 두는 게 아니냔 분석도 나오고요.

반면 지주 회장을 둬서 소규모 M&A부터 진행하며 성장을 위한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고요.

따라서 이런 회장, 행장의 겸직 문제 등에 정부가 이사회를 통해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이고, 그밖에 회장의 자격 등 절차적 문제에도 의사를 밝힐 지가 관건입니다.


앵커> 지주 인가가 나는 다음달 초부터 이런 얘기들이 본격화되겠군요? 아까 올드보이라고 표현했는데, 회장 후보로는 어떤 인사들이 거론됩니까?

기자> 일단 정부 측 인사는 없고, 대부분 우리은행 전현직 등 민간 출신 인사들로 후보군이 짜여져 있습니다.

현직 손태승 행장도 물론 포함이고요, 신한금융지주 사장을 지내고 현재 우리은행 사외이사이기도 한 신상훈 씨도 거론됩니다.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출신 인사들도 눈에 띄는데요.

오갑수 글로벌금융학회장, 선환규 예보 감사 등의 후보는 대선캠프에서 금융경제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했습니다.

일각에서 좀 문제다,, 라고 제기하는 부분이 이들 후보들의 나이인데요.

손 행장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후보가 1948년, 1950년 생입니다.

평균 연령이 일흔을 넘는 상황인데요.

금융권에서 지주 회장이라는 큰 자리가 간만에 나오자 어김없이 올드보이들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은행연합회장, BNK금융지주 회장 선출 과정에서도 이 올드보이들의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는데요.

특히 김지완 BNK금융 회장의 경우 1946년생의 고령인데다 문재인 대선캠프에도 참여한 인사여서 올드보이+낙하산 논란으로 시끄러웠었죠.

대부분의 금융지주는 회장 연령 규정이 있어서, KB금융과 하나금융은 70세, 신한금융은 67세입니다.

앞으로 논의가 되겠지만 우리은행 이사회나 회장후보추천위원회서 이런 조건을 두는 것도 가능합니다.


앵커> 다음달 초면 회장 선출을 위한 절차, 자격 등이 구체화되겠군요. 관련 소식 계속 전해주시죠.




[머니투데이방송 MTN = 조정현 기자 (we_friends@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