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산업시설 밀집된 ESS마저 화재… 대형사고 위험에도 원인 몰라, 대책도 없어

사고 ESS 설비 전소…원인 추정에 난항
마땅한 대책 없는데…커지는 화재사고 불안감
박경민 기자

thumbnailstart


앵커>
ESS 화재사고가 심상치 않습니다. 총 21건중 올해만 4건인데 어제 화재는 산업단지내 가스공장 시설에서 불이 나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 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화재원인을 찾지 못했고 민간시설은 가동중단 등의 대책도 없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박경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ESS가 설치된 건물 2층에서 시뻘건 불길이 솟구칩니다.

불이 3층까지 번졌지만 뜨거운 열기로 소방관들은 접근조차 어렵습니다.

불길은 배터리 3천여개 등 47억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낸 뒤 8시간여만에 겨우 꺼졌습니다.

화재가 발생한 곳은 액체산소와 액체질소를 생산하는 가스공장으로 ESS화재가 자칫 인근 산업단지에까지 피해를 미칠 수 있었습니다.

ESS 화재 사고는 대부분 특정 시간대에 집중됩니다.

야간에 전기를 저장했다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에 꺼내쓰는 용도의 ESS는 충전이 마무리되는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에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태양광 연계형의 경우는 전력생산이 끝나는 오후 4시 전후에 화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에 충전이 끝나 전력변환장치(PCS)가 가동되지 않는 시간이란 점에서 배터리 쪽 문제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다만 정부는 배터리만의 문제로 단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부 관계자 : (원인)추정은 가능한데 (다른 요인을)걷어낼만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그런 확신을 가질 수는 없습니다.]

전국 1,300여곳의 ESS 중 공공시설에 설치된 345곳은 정부가 강제로 가동을 멈춘 상황.

LG화학도 공장 등 사업장에 설치된 350여곳 ESS의 가동을 멈추고,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된 ESS는 충전을 제한해 줄 것을 고객에 요청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나머지 6백여곳의 ESS는 수시로 점검을 하는 것 외에 별다른 대책 없이 가동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ESS 제조사 등으로 구성된 조사위원회를 통해 최대한 신속히 화재 원인을 규명한다는 방침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