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스타트업도 '유학파'가 뜬다

해외서 먼저 시작하는 스타트업, 사업 확장에 유리
국내, 제3국 진출 시 '후광효과'도 기대
현지 조사·팀 셋업 능력 필수
유찬 기자

밸런스히어로의 '트루밸런스' 사용 모습

국내에서 시작해 해외로 진출하는 것과 반대로 선진 시장에서 먼저 인정받고 성장하는 유학파 스타트업들이 늘고 있다. 해외 인지도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역진출하기도 한다.

'밸런스히어로'는 인도에서 휴대폰 잔액과 데이터 사용량을 체크해주는 '트루밸런스' 앱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인도 및 동남아 현지 사정에 밝은 이철원 대표가 지난 2014년 인도에서 설립했다.

인도 휴대폰 사용자 90% 정도가 선불형식으로 휴대폰 요금을 낸다는 점을 공략해 좋은 반응을 끌어냈다. 앱에서 잔액 정보 확인은 물론 선불계정 구매, 잔액 충전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지난 2015년 서비스 정식 출시 후 약 3년 만에 7,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고, 한국기업 최초 인도 전자결제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사업성을 인정받아 시리즈 A/B 연속 투자 유치로 누적 투자액 450억 원을 달성했다.

지난달에는 첫 신용대출 상품 '페이 레이터'를 내놔 일일 판매 1만건 성과를 얻기도 했다. 7,000만 기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용평가 모델을 만들어 신용점수가 없는 10억 명 금융 소외계층에게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적중했다.

유기농 여성용품 브랜드 '라엘'은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첫발을 뗐다. 한국인 여성 3명이 공동 창업한 회사로 유기농 생리대 제품 출시 직후부터 아마존 생리대 카테고리 1위에 오르며 주목받았다.

미국 주요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입점한 '라엘' 제품들

최근 미국 대형 유통 체인인 타겟의 1,850개 전 지점에 입점하며 오프라인 시장으로도 영역을 넓히는 중이다. 생리대에 더해 마스크팩과 여드름 패치, 청결제 등 뷰티 제품 라인업도 늘렸다.

지난해 4월에는 한국 법인을 설립해 국내 시장 공략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비롯해 롯데백화점 전 지점 등 온·오프라인에서 국내 소비자들을 만나고 있다.

실내 공기 측정기를 만드는 '어웨어'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처음 시작했다. 실내에서 나오는 화학물질과 이산화탄소 등 공기 질에 민감한 미국 소비자를 타깃으로 삼았다.

아마존에서 공기 질 관련 상품 카테고리 평점 1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전 세계 60개국 2,000여 개 도시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위워크 본사와 직접 계약을 맺으며 전 세계 위워크 사무실을 활용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년 전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지난해에는 국내 인력을 두 배로 늘리며 국내 시장 공략에 힘을 줬다. 카카오, SK건설 등 기업파트너를 늘리며 B2C 판매 외 B2B 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해외 진출은 어렵지만 우수한 해외 인력을 사용하고 싶은 스타트업에 인재를 연결해주는 기업도 있다.

'맥킨리라이스'는 인도 개발자들을 국내 스타트업과 연결하는 인력 매칭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인도 현지 우수한 IT 개발자의 시간과 노동력을 한국 업체가 월 단위로 임대하는 형태다.

30여 명의 한국·인도 자체 고용 개발자원과 1,500여 명 공용 인도 개발자 인력풀을 확보했다. 국내 대비 50% 이하 비용으로 공급받고 월 단위로 고용과 해지를 할 수 있어 유연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해외 진출은 사업 확장 측면에서 여러 이점이 있지만 철저한 현지 시장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해외에 진출한 스타트업에 다수 투자하고 있는 정지우 소프트뱅크벤처스 이사는 "해외에서 먼저 시작한 스타트업은 현지 인력 채용과 시장이해 측면에서 유리하고,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재차 진출할 경우 후광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품과 나라별 시장에 대한 이해는 기본이고, 외국 기업으로 인식되지 않고 현지 회사처럼 운영할 수 있는 팀 셋업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철원 밸런스히어로 대표는 "진출하려는 국가에 최소 6개월 이상 생활하면서 해당 국가의 사회와 문화, 환경 등을 직접 겪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미나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정책팀장은 "지역과 서비스·제품마다 요구하는 표준 인증이 많고 다 다르다"며 "이를 스타트업이 모두 다 맞추고 준비하기 어려운 만큼 기재부나 중기부 등 부처에서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유찬 기자 (curry30@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