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득 보다 실 많은 SK건설의 '라오스 공방전'

라오스 댐 붕괴, 부실 시공따른 사고로 규명되면 최소 500억원 손실
해외 신인도 타격 커…수주 감소·자금 조달 등 악영향
최보윤 기자


지난해 라오스 댐 붕괴 사고 당시 피해지역 이재민들의 모습. © News1

라오스 정부가 지난해 7월 발생한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 댐 붕괴사고의 원인을 "부실 시공과 미흡한 대처로 인한 인재(人災)"로 결론 짓자 SK건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SK건설은 라오스의 조사 결과를 전면 반박하며 재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SK건설은 부실 시공으로 댐이 붕괴된 것이 아니라 집중호우와 과거 있었던 화산활동, 산사태 등으로 인한 천재지변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K건설에 따르면 현재 한국 정부를 비롯해 유수의 엔지니어링 업체들이 이 같은 의견을 내고 있다.

SK건설은 조사결과에 강하게 반박하면서도 피해보상과 복구에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상자가 100여명에 달하고 6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만큼 당연한 책임이기도 하지만, 믿는 구석이 있기도 하다.

SK건설은 7000억원 규모의 건설공사보험에 가입돼 있는데, 이번 사고로 최대 1000억원 정도는 보상받을 수 있다. 보험이 폭넓은 보장을 담고 있어 사고 원인이 천재지변에 있든 인재이든 크게 상관없다. SK건설이 가입한 보험은 사고로 인한 제3자의 사망 등 피해에 대한 배상책임은 물론 공사 재건에 필요한 비용까지 모두 담보하고 있다.

다만 사고 원인이 부실 시공에 있었다는 점이 명확해지면 일부는 보장에서 제외된다. 이 경우 보상액의 절반인 500억원 정도를 SK건설이 부담해야 할 수 있다. SK건설 역시 이 같은 가능성은 열어두고 이미 지난해 라오스 피해복구와 관련한 비용으로 560억원을 추정해 기타충당부채로 손실 처리했다.

이렇듯 비용 문제는 어느정도 충당됐음에도 SK건설이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뒤집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데는 더욱 절박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말을 기준으로 SK건설의 해외 도급공사 계약잔액은 5조6793억원 규모로 전체(21조4371억원)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SK건설은 지난해부터 안재현 사장의 진두지휘하에 해외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강한 드라이브를 걸어왔다. 실제 SK건설은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해외 수주액이 27억달러를 넘기며 건설업계 상위권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7월 라오스 사고가 발생하며 분위기가 반전됐고 수주액이 급격히 줄어 7~12월 수주액이 1억8000만달러 규모로 쪼그라들었다. 업계에서 해외 수주 순위도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 같은 분위기는 최근까지 이어졌다. 올 들어 SK건설은우즈베키스탄에서 6억달러 규모의 정유공장 프로젝트와 아랍에미리트(USE)에서 2억달러 규모의 철도공사를 따내기는 했지만 지난해에 비하면 매우 부진한 수준이다.

만약 라오스 정부가 SK건설의 재조사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지루한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럴 경우 해외 시장에서 SK건설에 대한 거부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부실 시공 건설사라는 국제적 낙인에 더해 결과에 승복하지 못하는 기업으로 인식될 수 있어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해외 사업에 사활을 걸던 SK건설이 지난해 여름 라오스 사고로 큰 충격에 휩싸였다"며 "단순히 사고로 인한 비용 문제보다 앞으로 해외신인도 타격으로 미래 일감을 따내기 어려워진다는데 더 절박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같은 잡음은 자본시장에서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기업 신인도 하락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 사업 수주가 제한되는 악순환이 지속될 것이다. SK건설은 당초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려고 했으나 라오스 사고로 발목이 잡혀 현재 잠정 보류된 상태다.

SK건설 입장에서 사고 원인을 '천재지변'으로 뒤집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지만, 결과와 상관없이 얻는 것보다 잃을 것이 큰 공방전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최보윤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