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주산연 "주택가격 하락세 하반기도 지속…하락폭은 둔화"

과잉 입주물량 해소, 금리 인상 위험 완화 등이 하락폭 둔화 요인
김민환 기자

전국의 주택가격이 하반기에도 하락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락세를 주도하는 변수로는 주택관련 대출규제·입주물량·공급량·금리·가계부채 등이 꼽혔고, 시장 안정을 위해 거래를 정상화하고 안정적인 주택가격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신중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 24일 열린 '2019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하반기 주택매매가격 하락 지속"…"하락폭은 둔화"

2019년 하반기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전망 <자료=주택산업연구원>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이 0.6%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 책임연구원은 수도권의 경우 상반기(-0.9%)보다 0.6%포인트 하락한 0.3%, 지방은 상반기(-0.9%)와 차이 없이 0.9% 하락해 전국적으로 0.6%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0.9%)보다 주택가격 하락폭이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인데, 그 원인으로 과잉 입주물량 해소, 금리 인상 위험 완화 등을 꼽았다.

특히 지난해 연간 3.3%의 상승률을 보였던 수도권은 올해 상반기 0.9% 하락하며 급격한 하락폭을 보였지만 하반기에는 이같은 요인들로 인해 그 폭이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세가격 역시 상반기보다 하락폭은 둔화하지만 여전히 침체를 지속할 것으로 판단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전세가격 전망은 각각 -0.9%, -1.0%로 전국에서 -1.0%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가을을 기준으로 보합세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달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의 하락폭이 둔화하고 있어, 지난해 수준의 외부요인이 없다면 가을시장을 지나며 보합 또는 강보합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단독주택가격은 지속해서 상승하며 별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입주물량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매매와 전세가격이 동시에 하락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역전세 위험이 커지고 있으므로, 임차인에 대한 보호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출규제·입주량·공급량·금리·가계부채 '5대 변수'
권 책임연구원은 하반기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주택관련 대출규제·입주물량·공급량·금리·가계부채 등을 제시했다.

그 중 입주물량과 대출규제는 입주예정물량이 집중된 지역의 입주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입주예정자의 입주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주택금융규제에 대해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잔금대출 미확보'가 입주예정자의 주요한 미입주 사유로 분석돼, 이로 인한 미입주 위험이 커지지 않도록 입주예정단지의 주택대출규제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공급량의 경우 감소하는 추세지만 기존에 예정된 물량이 많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국내 안팎의 불확실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금리인상위험은 상쇄됐지만, 대출규제가 강력하므로 주택시장 회복요인으로 작동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금리 하향 추세가 전망되고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며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제2금융권 연체율이 다소 증가해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 안정화 정책 마련해야
권 책임연구원은 거래감소에 따른 시장침체·대출제약으로 인한 주거이동성 악화·지방 주택시장 침체 지속·공동주택가격 하락 및 단독주택가격 상승 현상이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거래를 정상화하고 안정적인 주택가격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신중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침체를 지속하고 있는 지방주택시장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신규주택공급물량 조절 및 미입주·미분양 위험 관리를 위한 컨틴전시 플랜(우발적인 위기에 대비한 비상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