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불 붙은 반도체왜란…소재부품 들에도 국산화 봄은 오는가

조은아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경제 보복에 맞서 장기전도 불사하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는데요. 업계는 일단 급한 불을 끄면서도 이선 사태를 계기로 소재 부품의 '수입처 다변화와 국산화'를 추진하는 방안을 시도하고 나섰습니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국산 제품을 테스트하고 나섰습니다. 산업부 조은아 기자와 함께 이른바 '반도체왜란'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을 지 짚어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1> 먼저 러시아가 불화수소를 제공하겠다고 나서면서 수입처를 다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됐죠?

기자>
네. 맞습니다. 러시아산을 실제 공정에 쓸 수 있는지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우리나라 입장에선 또다른 카드를 쥘 수 있게 됐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한국원자력공단과 러시아 연방원자력공사, 로스아톰은 방사성 폐기물 관리와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불화수소 구매에 대한 논의를 했습니다.

우라늄 정제 과정에서 고순도 불화수소가 부산물로 생성이 되는데요. 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 공정과 같은 첨단 제조 공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러시아측으로서는 마땅한 구매처가 없는 상황입니다.

한국은 러시아 불화수소를 사용하게 될 경우 각종 시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장 구매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이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불화수소 규제에 나서자 다시 불화수소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것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불화수소뿐 아니라 일본 업체들이 독점하고 있는 다양한 정밀 소재 분야에 대한 구매 제안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2> 반도체 기업들이 러시아 뿐 아니라 대만, 중국 등으로도 수입처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데요. 특히 삼성과 SK 하이닉스가 국산 제품들을 테스트하고 있다고요? 어떤 단계로 볼 수 있습니까?

기자>
아직은 '테스트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불화수소 테스트 기간에만 최소 2개월 정도 걸립니다.

공정 최적화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 해도 실제 생산라인에 전면 도입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한데요.

일단 소량의 제품을 적용해보고 문제가 없으면 다시 조금 더 양을 늘려 테스트해보는 식의 과정을 몇 차례 더 거친 다음에서야 전면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반도체 업계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3개월 정도는 버틸 수 있는 불화수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단 급한 불을 끄면서 국산 제품에 대한 테스트를 해나간다면 일본산 소재를 어느 정도 대체해나갈 수 있지 않겠느냐, 이런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은 삼성전자는 국산화 비중에 대해 공개하진 않고 있지만 이미 일부 생산 공정에 국산 제품을 적용해왔습니다.

SK하이닉스는 국내 소재기업들과 테스트 단계에 접어든 상태입니다.

하반기면 국내 소재기업인 A사는 불산 정제공을 완공할 예정인데요. 중국 등에서 수입한 불산을 정제할 예정인데, 장기적으로 이를 통한 불화수소 공급도 가능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3> 장기적으로 지금의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는 답은 소재부품의 국산화일 수밖에 없겠죠. 정부 의지가 확고한만큼 이번 기회에 소재부품 국산화의 걸림돌을 제거하면 더 빠르게 국산화가 이뤄질 수 있을텐데요.

기자>
취재를 하면서 가장 많이 이야기를 들었던 이야기가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간 협력할 수 있는 생태계가 없다는 얘기였습니다.

소재부품 시장 자체가 워낙 작다보니 기술을 개발해도 사줄 기업이 없고, 대기업 입장에선 중소기업들의 기술력 수준이 원하는 수준에 못미친다는 겁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간극인 큰 상황인데요.

관련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김병욱/동진쎄미켐 디스플레이&에너지재료사업본부장 부사장 (7월 11일 MTN 인터뷰 中)
이게 초기에 진입할수 있는 시장 규모가 나와야만 진행할 수가 있거든요. 기업들이 마음은 있어도 못하는 거죠. 예를들어 수요기업에서도 그걸 끌고가고 싶어도 수요기업도 그걸 본인들도 따지고 보면 실제 원하는 규모가 안나오고. 저희같은 공급업체 개념에서도 채산성이 안나와서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실적인 허들이 있는거죠.


앵커4> 그렇다면 소재부품이 국산화되기 위해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간극을 좁히는 일이 급선무일텐데요.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기자>
일단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이 협력할 수 있도록 공동 연구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대기업이 구매자의 입장에서 새 장비나 소재가 나왔을 때 실제 공정에서 잘 쓰일 수 있도록 테스트를 해주는 이런 테스트베드가 필요하다는 것인데요.

대기업 입장에선 국내 기업들과 협력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정부 R&D 사업만 봐도 대기업은 참여기관으로서 보조적인 지원 역할을 하는데요. 보다 주도적으로 참여해서 기술개발을 할 수 있도록 허들을 낮춰줘야 한다 이런 의견도 나옵니다.

이들을 연결할 정부의 역할도 중요한데요. 최근 홍남기 부총리가 6조원 규모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는데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생략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했는데, 업계에선 이에 앞서 소재부품 국산화가 시급한만큼 6조원 투자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뿐 아니라 세부 사업별 예타도 면제해주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재부품 기술 개발은 연속성이 중요한데, 지금은 예비타당성 조사에 발목잡혀서 단발성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된 기술개발이 어렵다는 지적인데요.

업계는 구체적인 대안이 조속히 마련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