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불신 커진 사모펀드, '교각살우' 경계해야

상반기 380조 시장으로 성장
DLS·DLF 사태 등 찬물..순기능 살리되 투자자 보호 강화
박소영 기자

최근 자산운용업계는 거액자산가를 대상으로 사모펀드가 화두였다. 프라이빗뱅킹(PB) 센터에서 사모펀드가 아닌 공모펀드를 입에 올리면 '뭘 모른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다.

누구라도 투자할 수 있는 소액의 공모펀드는 'VIP' 대접을 받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익률 측면에서도 사모펀드에 크게 뒤쳐지는 경우가 다수였다. 그러니 돈 좀 있는 투자자는 대부분 공모펀드를 떠나 사모펀드로 이동했다.

2015년 펀드 수 8,974개, 설정금액 200조였던 사모펀드 시장은 2019년 6월말 1만 1,397개, 380조까지 불어났다. 이 중 파생형 사모펀드의 설정 금액은 2015년 17조 9,000억원에서 2019년 32조3000억원까지 늘었다.

사모펀드는 1인당 최소 투자 금액이 1억원을 넘고 투자자 수도 49인으로 제한돼 있다. 대신 공모펀드에 비해 운용 제약이 훨씬 덜하다. 이 때문에 투자상품이나 전략이 다양하고 리스크와 수익률도 맞춤식으로 조절할 수 있어 고액자산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파생결합증권(DLS)과 파생결합펀드(DLF)의 대규모 원금 손실 사태로 사모펀드 전성시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대규모 손실을 입은 DLF 대부분이 사모펀드 형태로 팔려나가면서다. 익명을 요구한 PB센터 관계자는 "DLF 같은 파생상품 투자는 앞으로 할 생각이 없고 권유도 하지 말아달라는 투자자들이 있다"며 "파생상품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상당히 위축돼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파생상품에 대한 불신이 사모펀드 전반의 신뢰 훼손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라임자산운용은 최근 상장사 전환사채(CB) 장외거래, 펀드 간 자전거래를 통한 수익률 돌려막기 등에 대한 의혹으로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받았다. 여기에 지난 1일에는 '라임 Top2 밸런스 6M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3개 펀드에서 약 274억원의 상환금 지급 연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펀드의 50% 비중을 차지하는 사모채권을 아직 현금화하지 못한 탓이다.

이에 대해 라임자산운용은 "사모채권 유통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 부진으로 유동화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는 라임자산운용의 주 판매사 중 하나가 우리은행인 점에 주목하고 있다. DLF 사태로부터 촉발된 사모펀드 환매, 금감원 조사로 인한 신규자금 경색 여파가 이번 유동성 차질을 부추겼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사모시장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이 사모시장의 불필요한 위축을 초래할 경우 벤처기업의 모험자본 공급이란 경제 패러다임 전환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사모펀드는 실물경제에 자금을 공급하고 기업 구조조정, 벤처기업 투자 활성화에 크게 기여해 온 점을 감안해야 한다. 부작용 고쳐보겠다고 순기능마저 죽이는 교각살우의 우를 범해선 안된다. 사모펀드 자체를 문제 삼기보다 차제에 투자자 보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살펴보고 시장과 투자자의 적절한 '접점'을 고민해 보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충고를 새겨들을 때다.



박소영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