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셀리버리, '글로벌 톱3 제약사'와 신약개발 플랫폼 원천기술 최종검증시험(FSA) 계약 체결

정희영 기자



셀리버리가 '글로벌 톱3' 제약사 중 한 곳과 세포-/조직- 투과성 바이오신약 개발을 위한 자사 플랫폼 원천기술의 검증시험(FSA)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플랫폼기술의 라이센싱아웃(L/O)에 있어서 마지막 단계로, 개별 신약승인 과정과 비교한다면 후보물질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후 글로벌 3상 진입과 같은 의미의 최종검증단계라 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셀리버리의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 TSDT 플랫폼기술'은 대부분의 질병을 일으키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타깃이 존재하는 세포 내로 약리물질(단백질, 핵산, 펩타이드, 항체 등)을 전송시킴으로써 이러한 약리물질을 신약화 시킬 수 있는 첨단 바이오 신기술이다.

셀리버리는 공격적으로 자사의 플랫폼기술 및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라이센싱을 추진해왔는데, 이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로 글로벌 톱3 제약사 중 한 곳과 TSDT 플랫폼기술의 검증시험 계약(FSA)을 체결한 것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이 글로벌 제약사는 TSDT 플랫폼기술을 적용해 개발하고 싶어하는 세포 내부의 특정 암유발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세포투과성 항암 항체신약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이번 최종 검증시험 프로그램으로 제시했으며, 검증시험의 모든 단위 실험들은 이 글로벌 제약사 연구소 및 이 회사에서 따로 계약한 제3의 위탁연구기관에서 객관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 검증실험이 성공할 시 해당 글로벌 제약사는 TSDT 플랫폼기술을 비독점적(Non-Exclusive) 또는 완전 독점적으로 라이센싱아웃(Exclusive L/O)을 통해 광범위한 신약 프로그램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도출된 신약후보물질들은 개별 라이센싱의 대상이 된다.

기존 항체 치료제는 생체 내 조직 및 세포로 전송될 수 없으므로 혈류 속에서 혈액세포와 혈관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리간드(ligand)와 수용체(receptor)에 대한 항체만 개발 가능했으나, 질병을 일으키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 타깃들의 95% 이상은 생체 깊숙한 장기, 조직의 세포 내부에 존재하므로, 이 타깃들의 항체가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만 있다면 항체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것이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의 일치된 의견이고, 이러한 기술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글로벌 톱3 제약사는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이라는 전제 하에 이번 최종 검증시험 계약을 진행한 것이라고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조대웅 셀리버리 대표는 "최근 수년간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인 일라이릴리(Eli Lilly),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로슈(Roche), 화이자(Pfizer), 머크(Merck),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등의 항체신약 후보물질들의 잇단 임상 실패와 지난 3월 바이오젠(Biogen)의 알츠하이머병 항체신약 임상 3상 실패의 궁극적 원인은 항체가 혈뇌장벽(BBB)을 포함한 인체의 혈관 시스템을 벗어나서 조직으로 그리고 세포 내로 전송될 수 없다는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TSDT 플랫폼기술을 적용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해 생체 내 전송을 가능케 하는 것이 암과 퇴행성뇌질환 같은 불∙난치성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이번에 계약 체결한 글로벌 제약사는 보수적인 사풍으로 회사 이름은 물론 계약의 자세한 내용 및 경쟁 상대에 대한 일체의 정보를 밝힐 수 없도록 해, 이 정도 선에서 언급할 수 밖에 없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양해를 구했다.

정희영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