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부동산 PF 옥죄는 금융당국…몸집 작은 중소형證 직격타

내년 2분기 '부동산 PF 채무보증 건전성 관리 강화안' 도입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 자기자본 100% 이내로 제한
"내년 사업 위축 불가피" 메리츠證 주가 10% 넘게 급락
허윤영 기자


사진=뉴스1 DB


금융당국이 100조원 규모로 성장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내년 증권사의 부동산 PF 사업 위축이 불가피해졌다. 자기자본과 비슷한 규모의 부동산 PF 채무보증을 취급하는 일부 증권사는 신규 투자는 커녕, 당장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증권사 부동산 PF 채무보증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내년 2분기 중 시행할 예정이다.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채무보증 한도를 100%로 설정하는 게 이번 규제의 핵심이다.

금융위는 이번 규제안 도입 배경에 대해 "증권사의 고위험 채무보증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건전성 장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며 "증권사의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개발 시행사는 부동산 PF 대출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 때 증권사가 대출채권을 유동화해 채무보증을 서고, 개발이 완료된 뒤 들어오는 분양대금 등으로 수수료 수익을 낸다.

부동산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PF 대출 상환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채무보증을 제공한 증권사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개발 사업에 문제가 생겨 대출금 회수가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하면 증권사는 유동화증권을 매입하게 돼 손실을 떠안게 된다.

채무보증은 매입확약(신용공여형)과 매입보장(유동성공여형)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중 시행사 등 다른 기관의 신용보강 조건 없이 증권사가 홀로 보증하는 형태인 매입확약의 위험도가 더 높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증권사의 매입확약은 지난해 31조원으로 4년 전(약 13조원)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었다. 증권사가 그간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부동산 PF 채무보증에 집중했다는 뜻이다.

금융당국이 이번 규제안을 발표하면서 주로 문제를 삼은 것도 매입확약이다.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 전체 채무보증에서 매입확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82%에 이른다. 금융당국은 고위험 유형인 매입확약 중심으로 채무보증이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별도 한도 규제가 없어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그간 금융당국에서 꾸준히 부동산 PF와 관련된 리스크를 경고해 온 만큼 갑작스러운 규제라고는 볼 수 없다”며 “채무보증 비중이 높은 몇몇 증권사는 부동산 PF 속도조절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업계에선 상당히 높은 수준의 규제안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율이 100%가 넘는 몇몇 증권사는 당장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56곳(외국계 지점 제외)의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중은 2013년 27.7%에서 올 상반기 75.4%까지 늘었다. 메리츠종금증권이 192%로 가장 높은 가운데 키움증권(112%)과 하이투자증권(101%)의 채무보증 비율도 자기자본 대비 100%가 넘는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금융당국은 증권사가 채무보증을 조절할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내년 7월부터 채무보증의 50%만 한도 계산에 포함하고, 2021년 1월 75%, 2021년 7월부터 100%를 적용할 방침이다.

삼성증권은 이날 금융당국의 이번 규제로 증권사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였던 부동산 PF 부문의 영업 여력의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냈다. 채무보증 비율이 가장 높은 메리츠종금증권의 주가는 10% 넘게 급락하면서 52주 신저가로 추락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업의 본질이 리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인데 이를 감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이를 제한하는 건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규제안 시행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금융당국에 완화를 적극적으로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윤영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