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공공기관 ESS만 가동중단하더니...민간 ESS 하룻새 화재 2건 연이어

다중이용시설 ESS 가동중단 지시, 안전점검에도 또 화재
민간 ESS 설비 위험 노출된 채 가동…가동 중단 시 비용손실 불가피
박경민 기자

뉴스의 이면에 숨어있는 뒷얘기를 취재기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뉴스 애프터서비스, 뉴스후
thumbnailstart


앵커>
화재위험때문에 정부가 공공기관에 설치된 ESS의 가동 중단 명령을 내린 사실 어제 MTN에서 단독으로 보도해 드렸는데요. 민간에 강제할 방법이 없어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까지 함께 했습니다.
그런데 어제 하룻새 민간 ESS 시설 두곳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민간시설이 1,000곳이 넘는데 화재위험에 노출돼 있는 상황입니다. 박경민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정부가 ESS 화재에 대응해 내린 조치가 무색하게 또 화재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어제 민간 ESS에서 2건의 화재사고가 추가로 발생했다구요?

기자>
예 어제 2건의 화재사고는 경남 양산의 고려제강 공장과 전남 완도의 태양광 발전소에서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두 사고 모두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고려제강 양산공장의 ESS 설비는 요금이 저렴한 시간에 전기를 저장해뒀다가 비싼 시간에 꺼내쓰는 용도로 사용됐습니다.

불은 약 6억 5,000만원 가량의 재산피해를 내고 꺼졌습니다.

완도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된 ESS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쑥날쑥한 태양광 발전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됐습니다.

화재로 리튬배터리 약 1,200개가 불에 타면서 소방서 추산 약 18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14일 전남 완도 태양광발전소 연계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앵커>
일단 화재 원인을 알아야 예방대책을 세울 수 있을텐데요. 명확한 화재 원인이 나온 곳이 있습니까?

기자>
이번 화재로 지난 2017년 8월 한전 고창변전소에서 ESS 화재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총 19곳의 ESS가 불에 탔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속 시원하게 화재 원인이 발표된 곳은 없습니다.

일단 ESS에서 불이 나면 다 탈때까지 불을 끌 수가 없습니다. 대용량의 전기에너지가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다 타 버린 배터리 등 ESS 설비로 조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한전과 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과 소방방국, 국립과학수사연구소까지 나섰지만 화재원인 규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ESS가 하나의 설비로 구성되지 않는 것도 화재원인을 찾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ESS는 전기를 저장해두는 배터리와 충방전시 교류전기와 직류전기를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와 PCS를 비롯한 ESS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삼성SDI나 LG화학 등 배터리제조사와 효성, LS 등 PCS 및 전체 시공을 담당하는 기업, 관리 시스템 간 화재 원인을 놓고 공방이 계속되는 사이 화재는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앵커>
안전에 대한 공포가 커지는 상황인데 정부의 대책은 나왔습니까?

기자>
두차례 대책을 냈습니다. 하나는 화재원인을 적극 조사하고 안전기준을 강화하겠다는 건데 결국 원인은 아직도 미궁입니다.

그러다 보니 어제 보도한 것처럼 지난연말 일단 공공기관부터 ESS 가동을 중단하라고 강제한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설치된 ESS는 총 1,327곳인데 공공기관 설비는 345곳으로 약 26% 수준입니다.

나머지 1,000곳의 민간시설은 운영중단을 강제할 방법이 없다보니 알아서 조심하라고 안전조치를 안내했지만 실효성은 없어 보입니다.

앵커>
당장 하루에 2곳이나 화재가 생길 정도면 상황이 심각한데 민간시설도 멈추도록 해야하지 않나요?

당장 멈추게 할 경우 막대한 비용손실이 발생한다는 게 문젭니다.

민간에서 ESS를 설치하는 경우는 크게 2가지 목적때문입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보조하기 위한 목적이 하나고 나머진 피크시간에 전력사용을 줄이고,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한 목적입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경우 ESS를 설치하면 일종의 재생에너지 생산 보조금인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격을 현재 최대 5배까지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료 절감을 위해 ESS를 설치한 사업장의 경우엔 현재 ESS에 충전하는 충전요금과 기본요금을 각각 할인해주는 특례요금제의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두 제도 모두 일몰규정으로 기한이 정해져 있는데요,

업계에선 가동중단 시기만큼 일몰기한을 늘려주거나 충전량 제한 등으로 인한 손해를 금전적으로 보상해주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민간사업장에서 전기료를 아낄 목적으로 설치한 설비에 국가재정이나 한전의 지원금이 들어가야 하는 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불가피하기에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배터리 산업은 최근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데요. 이러다 산업 발전에 차질이 빚어지는건 아닙니까?

기자>
네. 배터리산업은 최근 전기차와 ESS 등 수요가 급속히 늘면서 차세대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배터리산업이 반도체에 이어 수출효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이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 3사의 수주잔고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각 기업은 배터리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요 시장 곳곳에서 공장을 증설하는 등 세계 배터리산업을 선도하는 상황입니다.

LS산전이나 효성중공업 등도 ESS 연계 전력변환장치(PCS)를 비롯해 ESS 전체 EPC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ESS 화재가 계속되면서 무엇보다 원인 규명과 안전 확보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국내 배터리 기술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질 수 있는만큼 원인을 찾아 고쳐 나가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계속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진단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