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의도 증권가 전경 / 사진=뉴시스 |
그동안 사모펀드에 몰렸던 자금이 신기술사업금융조합(이하 신기술조합)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자, 유사한 투자 활동을 할 수 있음에도 규제가 느슨한 신기술사업금융회사(이하 신기사)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증권사도 앞다퉈 신기사 겸업에 나서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여신전문금융업법을 적용받는 신기사는 올해 6월말 기준 65곳에 달했다. 지난 2016년 6월 말 기준 27곳에 불과했지만,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여기에 증권사와 카드사 등에서 신기사를 겸업하는 곳을 포함하면 100곳을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가 신기술사업금융업을 등록하고 신기사를 겸업하고 있다.
투자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기사의 약정액은 지난해 말 기준 11조 7,000억원을 기록해, 지난 2019년 말 대비 4조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금리연계형 DLF 등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금소법)까지 시행되면서 신기술조합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기술조합은 신기술 기반의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 투자한다. 기술력을 갖추고 있지만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투자하고, 이후 사업의 성과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사모펀드 중 비상장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와 유사하다.
22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여신전문금융업법을 적용받는 신기사는 올해 6월말 기준 65곳에 달했다. 지난 2016년 6월 말 기준 27곳에 불과했지만,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여기에 증권사와 카드사 등에서 신기사를 겸업하는 곳을 포함하면 100곳을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가 신기술사업금융업을 등록하고 신기사를 겸업하고 있다.
투자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기사의 약정액은 지난해 말 기준 11조 7,000억원을 기록해, 지난 2019년 말 대비 4조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금리연계형 DLF 등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금소법)까지 시행되면서 신기술조합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기술조합은 신기술 기반의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 투자한다. 기술력을 갖추고 있지만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투자하고, 이후 사업의 성과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사모펀드 중 비상장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와 유사하다.
다만 신기술조합은 사모펀드와 비교해 느슨한 규제를 받고 있다. 여전법에 명시된 신기술금융사의 등록 요건은 사실상 '자본금 100억원' 기준 뿐이다. 사모펀드의 경우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보호 장치, 판매·수탁사의 감시 등을 의무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반면 신기술조합은 이러한 규제로부터 자유롭다.
여기에 더해 사모펀드와 달리 신기사는 수탁 계약을 체결하지 않더라도 신기술조합을 결성할 수 있어, 투자자 뿐만 아니라 업계에서도 사모펀드 대신 신기사로 눈을 돌리고 있다. 수탁사를 구하지 못해 펀드를 결성하지 못한 전문 사모운용사가 신기술조합을 통한 공동 운용으로 비상장기업에 투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신기술조합에 자금 쏠림 현상이 나타나면서 일각에선 '규제 공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규제가 느슨한 신기술조합에 대규모 자금이 몰리고 있는데, 관련 규제가 없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적극적으로 규제를 도입하기 보다는 투자 위험성을 알리는 등 행정지도 수준에으로 시장 개입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과도한 규제 도입으로 시장 자율성을 침해할 경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시장 자체가 침체될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신기사에 대한 다양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다만 신기사의 경우 대부분 기관 투자자로 이뤄진 만큼 사모펀드 수준의 강력한 규제 보다는 적당한 수준의 행정지도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조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