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집·일자리 찾아…귀농·귀어·귀촌 모두 역대 최고

2021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발표
귀농·귀어·귀촌 가구 모두 역대 최고
도시 거주비 부담·전원생활 수요 증가 등 원인
유찬 기자

자료=통계청

지난해 귀농과 귀어, 귀촌을 선택한 가구수가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거주비의 급격한 상승과 코로나19로 인한 전원생활 수요 증가 등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21년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귀농 가구는 1만 4347가구, 귀어 가구는 1135가구로 각각 14.9%, 26.5% 증가했다. 귀촌 가구는 36만 3397가구로 전년 대비 5.3% 늘었다. 모두 2013년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가구당 평균 구성원은 감소하면서 귀농어·귀촌 인구 상승세는 가구 상승세보다 소폭 낮았다. 귀촌 인구는 49만 5658명으로 3.9% 늘었고, 귀농인은 1만 4461명, 귀어인 1216명으로 각각 15%, 25.7% 상승했다. 귀어인은 귀어 가구와 마찬가지로 역대 최고치이고, 귀촌과 귀농인은 각각 2017년과 2016년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식품부는 귀농과 귀어 가구 증가의 원인으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 △도시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한 거주비 부담 △농어촌에 대한 관심과 전원 생활 수요 증가 등을 꼽았다.

귀촌 가구의 전입 사유를 살펴보면 귀촌 선택의 이유로 일자리가 34.3%로 제일 많았고 주택 27.1%, 가족 22.2%가 뒤를 이었다. 가족 사유로 귀촌한 가구가 전년 대비 0.4% 감소한 반면 직업은 4.9%, 주택은 7.4% 증가했다.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자연환경과 주거환경을 좇아 귀촌한 가구도 각각 9.2%, 6.3% 늘었다.

농식품부는 과거 경기 불황 시기 귀농어·귀촌이 늘었던 것과는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정현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영향이 있었지만 지난해도 4%대 성장해 도시민을 지방으로 밀어내는 효과는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는 적었다고 본다"면서 "30대 이하 귀농인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농업을 유망 직업으로 고려하고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분들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귀촌하기 전 거주 지역은 경기가 13만 1805명, 서울 7만 2658명, 경남 3만 3032명 등 순이다. 서울과 경기, 인천 수도권 지역이 22만 5482명으로 전체 45.5%를 차지했다.

가구 형태로는 1인 가구 비중이 높았다. 귀촌 가구의 75.2%, 귀농 가구는 74.5%, 귀어 가구의 79%가 1인 가구였다. 연령별로는 귀농·귀어는 50대 비중이, 귀촌 가구는 30대 비중이 높았다.

귀농·귀어인 가운데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67.9%, 전업 귀어인은 62.3%였다.

농식품부와 해수부는 귀농·귀어인의 실패를 줄이고 정착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농식품부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 등을 운영하며 농촌 생활을 사전에 경험할 수있도록 한다. 청년농 대상 영농정착지원금 지원규모 확대와 함께 여러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귀농귀촌 통합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귀어귀촌 박람회를 개최해 귀어귀촌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때 제공하고, 귀어학교를 통해 어업, 양식업 등 기술교육을 강화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창업·주택구입 비용, 정착금, 어선 임대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해 어촌지역 신규인구 유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귀농, 귀어인은 동(洞)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이 대상 기간 중 읍·면(邑·面)지역으로 이동하고, 농업경영체등록명부, 어업경영체등록명부 등에 등록한 사람을 말한다. 귀촌인은 위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 중 귀농·귀어인과 구성원, 학생·군인 등 일시적 이주자를 제외한 사람을 뜻한다.


유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