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단독]카카오, 류영준 대표 낙마 이어 '전면 출근근무' 전환 두고 '내홍'

서정근 기자

카카오 사내외 여론악화와 노조의 '보이콧'으로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의 카카오 본사 대표 취임이 무산된 후 카카오 노사간의 '대립각'이 전면 재택근무 전환 강행 여부로 옮아가고 있다.

카카오 경영진은 4월부터 조직단위별로 집합근무와 자율근무(재택근무)중 자유롭게 택일해 시행하는 '유연근무제 2.0'을 적용할 예정인데, 각 조직장들이 모두 집합근무를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코로나 위협이 상존하는데도, 자율적 선택을 허울로 걸고 사실상 전면출근을 강제한다"는 불만을 사고 있다.

11일 카카오 노조 서승욱 지회장은 "집합근무 강행 여부를 둔 크루들의 우려가 상존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4월부터 사실상 전면출근 근무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철회할 것을 노조 차원에서 공식 요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해 12월 중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자 3월 말 까지 전 직원들의 원격근무를 허용하고 관련 추이를 살펴본 후 향후 방침을 결정하기로 한 바 있다. 네이버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 상황.

논란을 산 류영준 대표 내정자의 임명을 철회한 카카오. 근무체계 개편을 둔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카카오 경영진은 4월 이후 근무형태를 각 조직과 업무 직군별로 A타입(전면출근을 통한 집합근무)와 B타입(재택근무) 중 하나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유연근무제2.0'을 도입하기로 한 바 있다.

그런데 카카오의 조직별, 직무별 책임자들이 모두 A타입을 선택하고 경영진이 이를 승인함에 따라 4월부터 카카오 본사 직원들은 전면출근을 통한 집합근무 체제로 전환할 것이 유력해지고 이를 둔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상황.

관련해 정의정 카카오 CTO는 사내 소통을 통해 "카카오가 앞으로 더 나아가기 위해 힘을 모으고 에너지를 모으는 것이 필요해 (우리 조직은) A타입을 선택했다. (전면재택근무를 앞으로도 이어갈)라인은 카카오와 다르다. 이미 본진 자체가 일본 회사다"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3일출근, 2일재택같은 것은 필요치 않다. 나올려면 다 나오고 안나올거면 다 안나와야 한다 카카오는 자율적인 제도가 있으나 근무는 다른 영역"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택근무는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대안 근무체계로 자리잡은 업무방식이다. IT업계 종사자들이 직장을 선택하면서 급여 외에 주요 선택기준으로 고려하는 잣대로 자리잡았다. 팬데믹에 따른 위험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출퇴근을 통한 감염 위협을 줄이고 사내 인구 밀도 감소를 통해 직장 내 집단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등 방역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같은 근무체계가 업무 특성에 따라 효율을 저하시킬 여지 또한 있고, "팬데믹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데, 위험 단계가 아주 위중하지 않다면 전통적인 기존 업무 체계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카카오의 한 관계자는 "재택근무가 효율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을 수 있고, 일과 삶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서 근무하는 것에 피로감을 느끼는 이도 있을 수 있다. 집합근무 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회사가 원할 수 있고, 이를 이해할 수도 있다"고 전제한 후 "조직별로 자율선택에 맡기는 형식만 빌렸을 뿐 결국 브라이언(김범수 이사회 의장)과 경영진이 원하는데로 전면출근 체제로 전환하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전통적 집합근무 체제 복구의 필요성을 강조한 정의정 CTO는 낙마한 류영준 대표를 대체할 신임 대표 후보군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이다.

관련해 카카오 홍보실 관계자는 "각 조직별 업무체제 선택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고 원격근무를 선택한 조직도 있다"며 "코로나 펜데믹 완화 이후 시행 예정이 원칙이라 4월에 시행한다고 못을 박은 것이 아니며, 출근근무를 선택한 조직 내에서서도 작은 조직 단위로 원격 근무를 신청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류영준 대표 내정자를 낙마시킨 카카오 직원들과 노동조합이 근무제도를 두고 사측과 다시 한번 대립각을 세우게 됐는데, 관련한 결정은 그간 카카오와 동일한 표준을 적용해온 네이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