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DLF 파장 '초비상']⑤ 우리금융 민영화 암초…공자위 "지분매각 예의주시"

공자위, 오는 24일 정기회의 개최…예보 잔여지분 매각 논의 여부 주목
우리금융지주 주가, 지난해 이후 33% '뚝'…공적자금 100% 회수 불투명
공자위 "우리금융 민영화는 최우선 사안…사태 예의주시"
허윤영 기자


사진=뉴스1

[편집자주]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이 초비상에 걸렸다. 금융당국이 대규모 원금 손실 사태를 부른 파생결합펀드(DLF)에 대한 불완전판매에 대한 책임을 물어 중징계를 결정하면서다. 지주 수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의 진퇴와 직결되는 사안이어서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지주의 지배구조는 일순간 혼돈에 빠졌다. 이번 사태는 고객 수익을 우선해야 하는 금융사의 본질과 책임의 범위에 대한 자문자답의 기회이자 반면교사의 계기다. 동시에 사상 초유의 사건을 맞은 각 금융사의 고심의 원인과 후폭풍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일정에 변수가 생겼다.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로 감독당국의 중징계를 받은 후 급락하면서다. 주가 하락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위한 마무리 절차인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 일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 결정권을 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도 이번 DLF 중징계 여파를 예의주시하며 향후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공자위와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잔여 지분 매각 계획에 변동이 없다는 입장이다. 매각 방안에 따르면 예보는 올 상반기부터 잔여 지분(17.25%) 매각을 시작해 2022년까지 민영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사실상 연임 의사를 밝히면서 우리금융지주는 당분간 금융당국과의 갈등이라는 부담을 안고 가야 하는 상황이 됐다. 각종 인허가권을 쥔 금융당국과 대립각을 세우면 인수·합병(M&A)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높이려는 우리금융지주 주가에도 부담을 줄 수 있는 악재다. 일각에선 올 상반기부터 예정된 예보의 잔여지분 매각 시점이 뒤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 공자위 오는 24일 정기회의 개최…잔여지분 매각 계획 논의될 지 주목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자위의 정기 회의가 오는 24일 개최된다. 통상 공자위는 한 달에 두 번씩 정기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공자위 정기 회의는 손 회장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문책경고를 받은 뒤 처음 열리는 회의여서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 관련 사안이 논의될 지 금융권의 관심이 쏠린다.

금융위 한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선 지난해 발표한 매각 방안이 유효한 상황”이라며 “예보의 잔여지분 매각은 앞서 발표한 3대 원칙에 따라 공자위가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다.

예보가 우리금융지주의 지분을 취득하게 된 건 1998년 옛 한빛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공적 자금을 지원하면서 시작됐다.

그간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 자금은 총 12조 7,663억원 규모다. 이후 주요 금융지주로의 분리 매각, 2016년 과점주주 7곳에 지분 매각 작업을 거치면서 11조 1,404억원을 회수한(회수율 87.3%) 상황이다. 이 같은 지분 매각을 진행하면서 예보의 우리금융 지분율은 100%에서 현재 17.25%로 낮아졌다.

우리금융의 민영화가 마무리되려면 예보가 보유하고 있는 나머지 지분(17.25%)를 모두 팔아야 한다. 이에 금융위는 지난해 9월 2020년 상반기부터 2022년까지 2~3차례에 걸쳐 잔여지분 매각을 완료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잔여 지분 매각 3대 원칙으로는 △공적 자금 회수 극대화 △우리금융지주의 빠른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을 제시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 추이 / 그래픽=네이버금융


■ 우리금융지주 주가 출범 이후 33% '뚝'…잔여지분 매각 지연 가능성

하지만 DLF 사태 중징계로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급락, 올 상반기부터 진행될 예정이었던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이 타이밍을 놓쳤다는 분석과 함께 시점을 늦추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우리금융의 주가를 감안하면 첫 번째 원칙인 ‘공적 자금 회수 극대화’를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지주 출범 이후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우리금융지주의 주식이 재상장 된 지난해 2월 이후 주가는 32.6%(7일 기준) 하락했다. 특히 DLF 사태가 불거진 이후 주가 하락률이 가팔랐다. 금감원의 중징계 결정 직후였던 지난 3일에는 52주 신저가(1만원)를 기록했다.

공적 자금 100% 회수를 위한 주가 마지노선은 1만 3,800원이다.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최소한 1만 3,800원 이상 돼야 손해를 안 보고 나머지 공적 자금 약 1조 6,000억원을 전액 회수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주가(1만 500원) 수준에서 예보가 잔여 지분을 매각한다고 가정하면 1조 2,400억원의 공적 자금 회수가 가능한데, 100% 자금 회수와 견주면 약 3,600억원 가량 차이가 난다.

문제는 손 회장이 사실상 연임을 의사를 밝히면서 금융당국과의 갈등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라는 점이다. 우리금융지주 기업가치 상승의 핵심은 비은행 부문 확대를 위한 인수합병(M&A)이다. 손 회장이 연임하려면 금융당국과의 행정소송이 불가피한데, 사업 인·허가권을 쥔 당국과의 갈등은 M&A 불확실성을 키우는 사안이다. 우리금융지주의 주가 상승을 점치기 어렵게 돼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 시작 시점이 늦춰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공자위 관계자는 “예보의 우리금융지주 잔여 지분 매각은 공자위 내에서도 최우선 순위에 있는 사안”이라며 “아직 잔여지분 매각 계획 등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는 없었지만 사안이 사안만큼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