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최남수칼럼] '후덜덜'보다 '후츠파'를!

최남수 보도본부장

참 역설적이다. 왕에게 절대 권력이 부여된 조선시대. 그런데 생사를 건 논쟁이 수시로 벌어졌다. 반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한다는 요즘은 어떨까.

1443년. 세종은 훈민정음의 창제에 성공하고 이를 전격 발표했다. 철통 보안의 비밀 작업 끝에 내놓은 기습적 선언이었다. 백성들에게 쉬운 언어를 선물하겠다는 왕의 결단이었지만 조정은 들끓었다. 한자 체제 아래에서 오랜 세월 단단하게 '굳히기'를 한 기득권 세력의 반발이었다.

세종과 훈민정음 반대세력은 서로 상대에게 날을 세운 논쟁을 벌인다.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 등 7인의 학사가 올린 상소문은 상대가 왕임을 개의치 않는 듯한 내용이다. "(훈민정음은) 옛 글자를 본뜬 것이고 새로운 글자가 아니다. 새 문자 창제 소식이 중국에 들어가면 비난을 받게 될 것이다. 언문을 만드는 것은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오랑캐가 되려는 것이다." 왕과 맞장을 뜨는 수준이다.

세종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너희는 백성을 편하게 하기 위해 이두를 만든 설총은 옳다하면서 자기 임금이 하는 일은 그르다고 하느냐." 사실상 읍소다. "너희들은 글에서 언문을 '새롭고 기이한 하나의 기예에 그치지 않는다'고 했는데 정말 그러하냐? 내가 산이나 들로 다니며 매사냥이나 하고 있다면 모를까. 너희들 말이 너무 지나치지 않느냐."

이 대화를 보면 당시가 왕정인지 민주주의 시대인지 헷갈릴 정도이다. 신하들은 왕에게 거침없는 언어를 사용하고 왕은 방어에 급급하다. 세종은 거센 반대의 물결을 헤치고 3년 뒤인 1446년 10월 9일 한글을 반포한다.

창조경제가 화두가 된 지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다. 실체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우리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일단 그 깃발은 올려졌다. 창조경제의 전도사로 불리는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제 2차관은 창조경제의 '역할 모델'로 떠오른 이스라엘을 알리느라 분주한 일정을 보내고 있다. 그의 강연에서 단골처럼 나오는 메뉴는 이스라엘의 '후츠파 정신'. '주제넘은, 뻔뻔스러운, 놀라운 용기'를 뜻하는 말이다. 이스라엘의 정부와 기업을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이슈가 생기면 아래 위 격식에 구애받지 않고 한 판 토론을 벌인다는 것이다.

윤 차관이 이스라엘 경제성장의 동력이 무엇인지를 알리기 위해 번역한 '창업국가'란 책이 있다. 이 책을 보면 1986년에 PC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칩386을 만들어낸 주인공인 인텔 이스라엘팀이 소개된다. 미국 본사도 못한 큰 일을 해낸 이스라엘팀의 회의 방식은 미국인 동료들도 당혹스러울 정도이다. 다들 목소리를 높인 터라 얼굴이 불그스레해서 나오는 데 무슨 일이 있는지 물어보면 '아주 좋은 결론에 도달했을 뿐'이라는 답을 듣는다고 한다. 여기에서 유념해야 할 점은 소리만 지르는 게 아니라 그런 분위기에서도 타협을 볼 줄 아는 게 후츠파 정신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지금 우리 사회의 현주소는 이 후츠파 정신과는 거리가 멀다. 정부든 기업이든 '높은 윗사람'이 주재하는 회의에선 아랫사람은 대부분 수동적으로 메모하는 모습만 보일 뿐 대놓고 윗사람에게 반대 의견을 표시하거나 동료들끼리 고성의 논쟁을 벌이는 일은 거의 없다. 대표적인 게 국무회의이다. 역설적으로 앞에서 얘기한 세종 재위 기간이 훨씬 '후츠파지수'가 높아 보인다. 왕조시대에 논쟁이 더 활발하고 민주주의 시대엔 묵언의 메모만 볼 수 있는 모순. 이건 민관 누구든 문제가 심각한 것이다.

후츠파는 둘째 치고 속된 말로 최소한 '후덜덜'은 아닌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아이디어가 숨을 쉴 토양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창조경제의 틀을 쌓겠다는 정부가 먼저 앞장서 민간에 보여줘야 하는 일 아닌가.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