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네이버도 문제? 구글 보안 프로토콜 적용 놓고 공방

조은아 기자

13일 열린 구글 특별 포럼에서 파리사 타브리즈 구글 엔지니어링 디렉터가 HTTP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조은아 기자]

웹 표준 프로토콜 'HTTPS' 적용 여부를 둘러싸고 인터넷 업계에 공방전이 벌어졌다.

파리사 타브리즈 구글 엔지니어링 디렉터는 13일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열린 구글 특별 포럼에서 HTTPS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네이버가 트래픽이 가장 많이 몰리는 메인 홈페이지에 https를 적용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네이버를 정조준했다.

HTTPS는 웹 표준 프로토콜인 HTTP에서 보안을 강화한 것으로 웹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데이터를 보낼 때 암호화해 전송한다.

구글은 모든 웹사이트를 HTTPS 기반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새로 배포한 웹브라우저 크롬 버전에 HTTPS를 적용하지 않은 웹사이트를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표기하고 있다.

문제는 구글의 기준에 따르면, 국내 대표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도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다.


구글 크롬은 네이버와 다음을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표기하고 있다.

현재 네이버와 다음은 로그인 이전 상태인 메인 홈페이지에서는 http를, 로그인 이후에는 https를 적용하고 있다.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서 HTTPS를 적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졸지에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것이다.

메인 홈페이지의 영역이 보안상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네이버-다음과 구글은 서로 시각을 달리하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은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서도 HTTPS 적용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지만, 이를 통해 실제로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고개를 젓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개인정보 관련 페이지는 모두 HTTPS가 적용돼있다. 그동안 메인 홈페이지에 HTTPS를 적용하지 않은 것은 초기 화면의 영역에서는 누구에게나 정보가 공개돼 있는만큼 보안상 문제가 없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다만, HTTPS 논란이 불거지면서 구글크롬의 경고 메시지로 불안해하는 이용자들을 위해 로그인 이전 단계에서 HTTPS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논란을 두고 '구글의 오만'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HTTPS는 전세계 표준기술이지만, 구글은 전세계 표준이 아니다"라며 꼬집었다. 전세계 웹사이트의 안전성 여부를 구글이 판단할 권리는 없다는 얘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HTTPS는 보안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킹의 상당수가 공유기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는 HTTPS로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HTTPS 적용 여부로 전세계 사이트를 평가한다면 이용자에게 잘못된 보안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며 "하나의 보안기술을 적용했다고 해서 전체가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구글이 HTTPS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HTTPS 적용 취지 자체는 옳다. 이미 국내 웹사이트 중 로그인 기반 사이트는 무조건 HTTPS로 구현해야할 의무가 있다"면서도 "인증기관을 인수한 구글이 일방적으로 다른 사이트를 평가하며 HPPTS 적용을 밀어붙이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구글은 암호화 기술 인증서를 발급하는 자체 조직과 함께 최상위 인증기관(Root CA) 2곳을 인수해 구글트러스트서비스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외부에서 암호화 기술을 인증받는 것이 아니라 구글 스스로 인증기관이 되는 것이다. 구글트러스트서비스에서는 HTTPS 암호화 통신용 인터넷 통신 규약 프로토콜인 SSL(Secure Sccket Layer) 인증서를 지원한다.

구글 측은 중소업체를 위해 일부 비용은 무료 지원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영역에만 해당돼 실제 비용부담은 여전하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조은아 기자 (echo@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