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특이한기자들] 바람 잘 날 없는 빗썸...깜깜이 상장 논란

조은아, 김이슬 기자

취재현장에서 독점 발굴한 특종,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슈. 특종과 이슈에 강한 머니투데이 방송 기자들의 기획취재
thumbnailstart


앵커>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방금 전해드린 빗썸 이슈부터 최근 문제가 됐던 팝체인 상장 논란, 그리고 베일에 쌓여있는 지배구조까지 세 차례 기획 리포트를 통해 짚어드렸는데요. 오늘 특이한 기자들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빗썸의 행보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경제금융부 김이슬 기자와 정보과학부 조은아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있습니다. 팝체인 논란부터 살펴볼까요. 빗썸은 팝체인 상장을 발표했다가 온갖 의혹이 불거지자 결국 상장을 유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불거졌죠. 먼저 이 부분부터 짚어보죠.

김이슬 기자> 가장 큰 의혹은 팝체인 코인 91%가 2개의 지갑 계정에 몰려있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상화폐가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면 가격이 폭등하기 때문에 2개 소유자가 수익을 독식할 수도 있는 구조인 겁니다.

앞서 보신 리포트에서 잠깐 ICO와 상장 과정을 언급했는데요.

개발자와 지인으로 구성된 핵심 관계자들의 몫이 사전 프리세일 단계까지 절반 가량 분배된 상황에서 교환비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ICO와 상장을 거치면 가격을 수십배까지 뻥튀기 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상장 직후 시세가 급등하다가 폭락하게 되는 반복적인 흐름을 봤을 때, 이번 팝체인 지갑 논란은 합리적 의심이었다고 봐야겠죠.

이런 비판에 직면하자 팝체인 재단에서도 해명을 내놨습니다.

두 개 지갑은 재단 소유이고, 이중 76%가 몰린 계정은 토큰을 분배하기 전 지갑. 나머지 하나는 마케팅으로 쓸 목적이었단 건데요.

그래도 논란이 끊이지 않자, 팝체인 측은 상장 예고일 이틀전부터 지갑 계정을 200여개까지 점차 늘려나갔습니다.

앵커> 팝체인의 기술과 관련해도 논란이 있었죠. 우선, 팝체인 코드가 기존 코인들의 코드를 베꼈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개발진도 논란거리였었죠?

조은아 기자> 보통 오픈소스를 활용한 블록체인은 개발자 커뮤니티인 깃허브에 소스코드를 공개하게 되어있습니다.

오픈소스 특성 자체가 개방과 공유인만큼 서로 코드를 활용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코인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 역시 바로 오픈소스의 특성 때문이고요. 팝체인 역시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했습니다. 여러 코인들의 장점을 끌어다쓴 것인데요.

문제는 그 정도가 과하다는 것인데요. 깃허브에 나온 소스코드 정보를 살펴보면 저작권 정보에 비트코인 소스코드가 대부분이었고, 대시나 모네로 코드도 눈에 띄었습니다.

일각에서는 거의 베낀 수준이라고 혹평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를 개발한 개발진에 대한 의혹도 있습니다. 사실 블록체인 관련 개발자 풀이 넓지 않기 때문에 개발진이 허구의 존재가 아닌 이상엔 중복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는데요.

하필 중복되는 대상이 빗썸 자회사 비버스터가 진행하고 있는 빗썸코인 개발자라는 점이 의혹을 키우고 있습니다.

물론, 빗썸 측은 팝체인은 빗썸이 개발한 코인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는데요.

하지만 빗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한 개발자가 동일한 것은 변함이 없다보니 관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 것인데요.

적당히 짜깁기한 프로젝트를 제대로 된 ICO도 없이 "관계가 있어보이는" 거래소에 직상장하려고 한 모양새다보니 빗썸이 중간에서 차익을 거두려고 했던게 아니냐는건데, 이 부분은 빗썸과 팝체인 측 모두 투명한 정보공개를 해야만 해소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딱봐도 문제 있어보이는 이런 코인이 어떻게 무리없이 상장될 수 있었을까요? 내부 상장 심사를 제대로 거친 건 맞는지, 불신이 커보이는데요.

김이슬 기자> 심사 과정이 불투명하기 때문입니다.

빗썸은 내부에 코인 시장성, 비즈니스 영속성, 기술 확장성 등을 심사하는 상장심의위원회라는 것을 두고 있는데, 깜깜이 수준입니다.

심사위원회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믿을만한 심사 담당자가 참여하고 있는 건 맞는지 조차 전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거래소 상장 기준을 둘러싸고 말들이 많습니다.

상장 등록을 위한 수수료로 거액을 요구한다든지, 내부자가 사전 정보를 유출한 뒤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인다든지 하는 것들인데요.

이런 오해들이 커지고 있지만, 빗썸 측은 오히려 심의위원회가 투명하게 운영될 경우 외부의 검은 손길이 닿을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공개를 꺼리고 있습니다.

앵커> 팝체인의 백서를 살펴보면 팝체인이 하겠다는 사업 내용도 의문점이 많은데요. 팝체인 발행의 키를 쥐고 있는 더이앤엠(THE E&M)은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을 지향하겠다고 했는데 사업성은 어떤가요?

조은아 기자> 사실 가상화폐 업계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ICO를 하겠다는 기업들을 취재하다보면 정말 실현 가능한 프로젝트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때가 많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보면 팝체인의 사업성도 의문부호입니다. 팝체인은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을 지향하는데요. 블록체인을 통해 다양한 동영상이나 음악, 글 등을 유통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문제는 콘텐츠가 부족하거나 사용자가 없으면 이 플랫폼은 큰 의미를 갖기 어려운데요. 더이앤엠은 2013년 이후 2106년을 제외하고 매년 적자를 내고 있거든요. 주요 서비스로는 성인방송 위주인 팝콘TV, 온라인 라이브 방송 플랫폼인 셀럽TV가 있는데 둘다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거래소의 막무가내 영업 행태를 통제할 방법은 없는 건가요? 정부 대응이 필요한 것 같은데요.

기자> 지난 1월 가상화폐 거래실명제 도입으로 시장 과열을 식히는데 성공한 정부는 이후 시장을 관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경찰과 검찰이 시장에서 이뤄지는 불법 행위를 단속하거나 거래소의 횡령.배임 의혹을 수사하는 식의 접근인데요.

거래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긴 하지만 이를 규제할 법적 근거가 없어 손쓸수 없는 상황인 겁니다.

현재 국회엔 가상화폐 관련 법안 4개 정도가 제출돼 있는데요.

일정 규모 이상의 자본금을 갖춘 거래소를 인가하거나,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부여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미국 뉴욕주 사례를 보면 비트라이센스라고 불리는 가상화폐 거래 허가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특이한 점은 미국의 경우 최저자본금 규정이 없습니다. 금융당국이 거래소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위험도를 수시로 평가해 거래소별로 다르게 규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중간에 거래소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언제든지 문을 닫으라고 할수가 있는 겁니다.

아직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가 없긴 하지만, 빗썸은 최근들어 자금세탁방지 규정을 강화하거나, 1금융권 수준으로 보안을 강화하는 등의 자체 개선 사항을 발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논란이 중심에 있는 빗썸은 지배구조 문제도 계속 거론되고 있는데,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죠. 이번에 팝체인과의 전략적 제휴사인 더이앤엠과 최대주주인 룽투코리아와의 연관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고요?

조은아 기자> 빗썸을 운영하는 비티씨코리아닷컴은 비티씨홀딩컴퍼니 75.99%, 비덴트 10.55%, 옴니텔 8.44%, 기타 5.01%로 구성돼 있습니다.

비티씨코리아닷컴과 비덴트, 옴니텔은 순환출자 고리로 연결돼 있는데요. 비덴트는 비티씨홀딩컴퍼니의 10% 지분을, 옴니텔 지분 5.97%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최대주주인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지배구조가 알려져있지 않는 상태다보니 이번에 팝체인 상장 문제가 불거지면서 더이앤엠이 주목받고 있는 것인데요.

더이앤엠은 스트리밍 업체로 팝콘 TV 등을 서비스 하는 곳으로, 더이앤엠의 최대주주인 룽투코리아와 빗썸이 연결된 것 아니냐는 이런 의혹도 나오고 있는 상태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조은아 기자 (echo@mtn.co.kr)]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이슬 기자 (iseul@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