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화차 BMW' 판매 급락…반사 이익은 벤츠 아닌 아우디?

권순우 기자

뉴스의 이면에 숨어있는 뒷얘기를 취재기자로부터 직접 들어보는 뉴스 애프터서비스, 뉴스후
thumbnailstart

앵커> 지난 여름 운전자들을 불안하게 했던 BMW 화재 사건이 결국 판매량 급감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수입차 판매량이 집계가 됐는데 BMW의 판매량이 반토막 났습니다. 정부는 BMW 사태를 계기로 제조사의 책임을 높이기 위해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도입하고 결함조사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순우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누구나 예상할 수 있었던 일이기는 하지만 BMW 판매량이 많이 감소했지요?

기자> 8월 판매량이 발표된 어제, BMW 판매가 얼마나 급감했을까가 관심사였습니다. BMW 판매는 2,400대로 전월 3,900대에 비해 40%가 줄었습니다.

특히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한 520d 판매는 107대에 그쳤습니다. 520d는 올해 들어 7월까지 월 평균 1천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링카입니다. 520d 판매는 전월에 비해 80%나 떨어졌습니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로 보면 BMW는 여전히 메르세데스-벤츠에 이어 2위를 지켰습니다. 가솔린 모델인 520은 46%가 늘었습니다. 한국에서 BMW의 브랜드 파워를 강하다는 걸 보여줬습니다.

앵커> BMW 화재가 발생하면서 수입차 전반에 대한 이미지도 악화된 것처럼 보이는데요. 다른 수입차 브랜드 판매는 어떻습니까?

기자> BMW가 판매가 줄면 쌍두마차인 벤츠 판매가 늘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는데요. 벤츠는 1위를 지키긴 했지만 판매가 36% 감소한 3천대를 기록했습니다. 벤츠 판매량이 줄어든 것은 수입차의 이미지와 상관없이 재고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벤츠 C클래스는 부분변경, E클래스는 연식변경을 앞두고 있습니다. 신형이 입고 되기에 앞서 재고가 부족해서 판매가 줄어든 겁니다.

BMW 판매 부진의 반사이익은 아우디, 폭스바겐이 봤습니다.

아우디의 판매량은 2천대로 전월보다 47%가 늘었고, 폭스바겐도 1800대로 11.9% 늘었습니다.

아우디 A6는 1천대 넘게 판매되며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이 됐습니다. 2위는 폭스바겐 티구안으로 900여대, 3위는 아우디 A3 700대 순이었습니다.

A6는 신차가 아니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인데 국내에서 영업정지가 된 기간이 있다보니 신차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디젤게이트로 최근 2년간 판매를 안하다가 올해 2월 판매를 재개한 아우디는 판매재개 7개월 만에 정상궤도에 올랐습니다.

BMW의 수입차 시장 점유율은 19.3%에서 12.4%로 약 7%p 하락했습니다. 아우디폭스바겐의 점유율은 14.9%에서 20.4%로 5.5%p 높아졌습니다.

BMW 화재의 원인은 배기가스 규제를 넘어서기 위해 무리하게 설계를 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MW의 반사이익을 배기가스 배출을이 적은 것처럼 보이려고 소프트웨어를 조작했던 아우디-폭스바겐이라는 점은 매우 아이러니합니다.

독일 검찰은 배기가스 조작 혐의로 아우디의 루퍼트 슈타들러 회장을 체포했습니다. 검찰은 아우디가 실제 도로를 주행할 때 배기가스 저감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소프트웨어를 조작한 혐의를 잡고 있습니다.

또 벤츠, BMW, 포르쉐, 아우디, 폭스바겐 등 독일 자동차 회사들은 질소산화물 배출을 줄이는 요소수 탱크 크기를 줄이는데 담함한 혐의도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브랜드들이 여전히 잘 팔리고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 합니다.

앵커> 수입차에서 반사이익이 국내 자동차 회사로 옮겨오진 않는 것 같습니다.

기자> 수입차 시장 전체 판매량은 -6.4%, 1,312대가 줄었습니다. 재고가 없어서 못 팔은 벤츠의 판매 감소가 1,600대인 것을 감안하면 전체 수입차 판매는 오히려 늘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8월 국내 자동차 회사 신차 등록 대수는 14만 3,385대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습니다. 개별소비세 인상 효과로 신차 등록이 4천여대가 눌었습니다. 반면 전월에 비해서는 8.5% 줄었습니다.

개소세 인하가 7월 말부터 시작된 점을 감안하면 8월은 한달을 오롯히 개소세 인하 효과를 볼 수 있었는데, 기대보다는 아쉬운 수준입니다.

앵커> BMW 사태로 늑장 리콜, 부실 결함 조사 등의 대한 불만도 많았는데요. 보완 대책은 나왔나요?

기자> 정부는 BMW 사태를 계기로 자동차 결함에 대한 제조사 책임을 강화하고 소비자 권익보호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소비자 권익 보호 차원에서 결함을 알고 있었는데도 조치를 게을리해 중대한 손해가 발생하면 신체, 재산 손해액의 최대 10배를 배상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화재 등 공중안전에 심각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운행을 제한하거나 해당 차량의 판매를 중지하는 장치도 마련했습니다.

제작사 책임을 강화하는 차원에서는 제작 결함을 은폐 축소할 경우 매출액의 3%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제도가 신설됩니다. 지난해 BMW코리아의 매출액은 3조원 정도입니다. 매출액의 3%면 1천억원의 과징금도 부과가 가능한 겁니다.

앵커> BMW측은 얄밉게도 이전부터 결함 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 불이 난 이후에야 결함을 인정했습니다. 또 소극적인 태도로 지금까지도 일관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보완이 될까요?

기자> 국토부는 결함 조사를 위한 모든 단계에서 필요한 자료 제출을 의무화했습니다. 또 부실, 지연, 미제출 등 불성실하게 임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사실 BMW도 문제지만 BMW의 행동을 이끌어 낼 관계부처의 역량 부족도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BMW 배기가스 부품에 문제가 있다는게 국내에 처음 드러난 건 2015년이었습니다.

환경부는 2015년이후 4차례에 걸쳐 배기가스 부품에 대한 리콜을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배기가스 배출만 살펴보고 안전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결함 조사를 하는 국토부 인력은 2명, 자동차안전연구원은 13명. 예산은 9억원에 불과합니다. BMW 520d 한 대에 6,300원~1억원이나 됩니다. 몇 대 사서 조사를 해보기에도 빠듯합니다.

일단 시스템을 개선해 관계부처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또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예산을 늘리고 하나의 부서에서 단독 연구기관으로 개편하고 조직 및 인력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등록 대수 대비 화재 건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결함 조사에 착수하는 등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권순우 기자 (progres9@naver.com)]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