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특이한기자들] 기술·인력 빼가는 中…韓 반도체·디스플레이업계는 '속수무책'

1,500억 투자한 OLED 기술 협력사가 중국에 넘겨

반도체업계는 인력 유출에 몸살…전직금지가처분 소송

2~3년 앞선 기술 격차 좁혀질 주도
박지은 기자

취재현장에서 독점 발굴한 특종,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슈. 특종과 이슈에 강한 머니투데이 방송 기자들의 기획취재
thumbnailstart


기자> 특종과 이슈에 강한 기자들, 산업부 박지은입니다.

한국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업계가 중국의 추격에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본격 양산한다는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고 있고 OLED산업 역시 안전하지 않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중국으로의 기술과 인력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2~3년 앞서 있는 기술 격차까지 더욱 좁혀질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한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과 인력 유출 문제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지난주 검찰에서 기술 유출 혐의로 코스닥 상장사 임원들을 대거 기소했죠? 어떤 사건인지 자세히 말씀해주시죠

기자> 네. 코스닥 업체 톱텍의 임직원 11명이 기소됐습니다. 해당 업체는 삼성디플레이의 협력사인데요. 1992년부터 26년간 설비 등을 납품해왔습니다.

검찰의 기소내용에 따르면 이들은 톱텍이 아닌 위장회사를 따로 만들어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을 중국에 넘기고, 또 그 기술을 활용한 설비장비를 제조해서 중국에 넘겼습니다.

해당 기술은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시리즈에 적용되는 기술이죠, 바로 구부려지는 OLED와 관련된 기술입니다. 삼성은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6년간 1,500억원을 들였는데, 이 업체 대표 등은 단 155억원에 해당 기술을 넘겼다고 검찰은 밝혔습니다.

앵커> 유출된 기술들은 어떤 회사에 넘겨졌나요?

기자> 네. 중국 업체 4곳이 이번 기술 유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중 2곳에게는 이미 해당 기술이 흘러들어갔고, 나머지 2곳은 유출 시도 단계였던 것으로 파악되는데요.

이미 유출된 곳 중 하나는 BOE입니다. BOE는 지난해 처음으로 대형 LCD 시장에서 LG디스플레이를 제치고 세계 1위로 오른 기업인데요. 한국 디스플레이업계의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업체입니다.

특히 BOE는 LCD에 이어 OLED에서도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우리 기업들을 바짝 뒤쫓고 있는데요. 아직 수율은 1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미 OLED 양산 공장을 가동 중이고, 양산 규모 확대를 위해 2개의 라인을 추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인한 삼성의 추정 손해 규모도 내놨는데요. 약 3년간 매출 손실 6조5,000억원, 1조원의 영업손실을 볼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앵커>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사건이 처음은 아니죠? 올해만해도 몇몇 건들이 보도되기도 했는데요.


기자> 네. 올해 6월에는 삼성디스플레이 협력사에서 일했던 연구원이 OLED 기술파일을 중국 업체에 건내려다가 적발된 적이 있었고요. 또 같은 시기 삼성과 LG디스플레이의 1차 협력사에 위장취업해 기술을 빼내려고 했던 사건들도 있었습니다.

OLED를 비롯해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된 반도체 기술 등을 해외로 빼내려는 움직임들은 국가정보원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데요. 국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중국으로 기술이 유출된 사건만 28건에 달합니다.

앵커> 디스플레이나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런 기술탈취는 물론이고
인력 유출 문제도 심각하다고요.

기자> 네. 최근 삼성전자는 중국 반도체 업체로 이직한 전직 임원에 대해 전직금지가처분 신청을 냈습니다. 해당 임원은 삼성전자에서 D램 설계를 담당해왔었는데요, 지난해말 삼성전자에서 삼성SDI로 발령이 난후 퇴직하고 중국으로 자리를 옮긴겁니다. 특히 이직한 곳은 허페이창신이라는 곳인데, 이곳에서는 지난 7월부터 D램을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도체굴기로 한국의 위협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고급인력의 이직은 당연히 우리 산업 전반에 손해가 될 수 밖에 없는데요.

디스플레이업계도 마찬가집니다. LG디스플레이는 중국으로 이직을 시도한 전직 직원 2명을 대상으로 전직금지 가처분신청을 내서 승소를 했고,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지난 7월 퇴사자를 상대로 전직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서 승소했습니다.

특히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사례도 많다고 합니다. 그 회사에 취업하기 전에 국정원 등에서 먼저 관련 사례를 적발해, 회사차원에서 전직을 미리 못하게 하는 경우들도 많기 때문에 사실상 더 많은 인력들이 중국의 스카웃 제의에 노출돼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앵커> 많은 연구원들이 한국 반도체, 디스플레이업계를 발전시켜왔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을텐데 중국 기업으로 옮기는 이유가 뭔가요? 얼마나 파격적인 대우를 하길래 이직이 계속되는건가요?

기자>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일단 큰 회사의 경우에는 현재 연봉의 3배까지도 제시한다고 합니다. 그외 소재나 장비업체들도 최소 1.5배에서 2배는 연봉을 올려준다고 제안한다는데요.

이외에도 다른 조건들이 한국에 있을 때 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일단 거주할 수 있는 집은 물론이고, 차량까지 제공해주고 이외도 부가적인 복리후생을 조건으로 내걸고 공격적인 스카웃을 합니다.

특히 중국의 공격적인 인력 확보에 대상이 되는 사람들 중에서는 구조조정 대상자 등이 많이 포함된다고 하는데요. 산업이 재편되면서 어쩔수 없이 인력을 줄여야하거나 그런 경우들이 있는데, 그런 대상자들에게 브로커가 붙어서 제안을 하는겁니다. 일부의 경우이지만 이직 조건이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먼저 중국 쪽에 문을 두드리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앵커> 그런데 이직하는 건 개인의 자유이다 보니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막기가 참 힘들지 않나요?

기자> 네. 이런 인력유출이 심해지면서 일단 국가정보원에서는 업계사람들과 산업기술보안협의회라는걸 꾸려서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기술 유출이 명확하지 않은 이직'과 관련해서 법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러다보니 일단 지금은 기술 유출을 동반하는 이직에 관해서만 막을 방법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 단계인데요.

가령 예를 들어서 중국에서 이직을 제안할때 "특정 기술 관련 사항을 가지고 오면 몇억을 더 주겠다"이런 식의 불법 이직을 조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사례들을 잘 모니터링하고, 또 그런 제안이 있다는 것을 회사측에서 알게되면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하는지 등을 공유하는 수준입니다.

앵커>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의 대책인데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겠군요?

기자> 장기적인 해답이지만 가장 중요한건 반도체나 OLED에 대한 투자를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주장입니다. 결국 인력 유출 등은 생태계와 관련이 있는 만큼 강제로 막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투자가 많이 이뤄져서 고용을 할 수있는 폭이 넓어지면 인력 유출문제도 어느정도 해결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 장비회사나 소재회사 등은 매출 1조원도 못내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중소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퇴직후 옮길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지은 기자 (pje35@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