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특이한기자들] 사교육만 활성화된 '에듀테크'…공교육은 '강건너 불구경'

취재현장에서 독점 발굴한 특종,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이슈. 특종과 이슈에 강한 머니투데이 방송 기자들의 기획취재
윤석진 기자

thumbnailstart


기자>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교육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거셉니다.
IT 기술과 교육 콘텐츠를 결합한 에듀테크(EduTech) 산업이 사교육 시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 교육업체들은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술을 가미한 콘텐츠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반면, 사교육 시장과 달리 공교육 쪽은 많이 뒤처진 모습입니다. 국내 에듀테크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에듀테크가 교육과 기술의 융합이라는 사전적인 정의는 알겠는데, 기존의 온라인 기반 학습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주시죠.

기자> 예, 기존 온라인 학습은 이러닝(e-Learning)으로 불립니다. 일대 다수의 교육 방식이 특징인데요. EBS 수능 온라인 강의를 떠올리시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학습 콘텐츠를 만들어 놓으면 누구나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다만, 공급자 중심이란 한계가 존재했는데요. 전교 1등이던 꼴찌던 같은 교육이 이뤄졌습니다.

에듀테크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합니다. 1대1 과외처럼, 맞춤형 교육을 구현해낸 겁니다. 이게 가능해진 이유는 빅데이터와 AI를 교육 콘텐츠에 접목시켜 개인별 '학습 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가령, 학생이 특정 영어 단어 스펠링을 자꾸 틀린다는 정보가 빅데이터에 쌓이면, AI는 진도를 더 나가지 않고 그 부분만 집중적으로 다뤄줍니다.


앵커> 학생 개개인의 실력에 따라 교육 내용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기존 온라인 학습과 구별된다는 말씀이네요.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기자> 사교육 시장을 중심으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먼저, 선생님이 직접 가정을 방문해서 교육하는 학습지가 달라졌습니다.

교원그룹에서 '스마트구몬'과 '스마트빨간펜'을 제공 중인데요.

이 스마트 학습지는 공부 시간과 성적, 풀이 과정을 빅데이터화해 맞춤형 피드백을 해줍니다.

태블릿PC로 3D 애니메이션을 보고, 실시간으로 선생님에게 직접 코치를 받는 영어 상품도 있고요. 교원 관계자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오현덕 / 스마트미디어 부문장 : 디지털콘텐츠의 장점은 쌍방향, 반응형이라는 데 있는데요. 이 두 가지 속성은 결국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형 학습이 아닌 능동형 학습으로 참여를 이끌어 내고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는 데 그 장점이 있습니다.]

'북큐레이션' 서비스도 눈길을 끕니다. 웅진씽크빅은 1만여개 도서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요. 디지털교과서 쪽으로는 천재교육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고요.


앵커> 주요 교육업체들이 앞다투어 에듀테크 산업에 뛰어든 모습인데, 시장이 어느 정도 성장했나요?

기자> 관련 상품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교원 스마트 교육상품 가입자 수는 지난 9월 기준으로 46만명이 됐고요. 웅진씽크빅의 웅진북클럽은 현재 36만여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로 보면,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15년 67조원에서 2020년 193조원으로 커질 전망입니다.


앵커> 에듀테크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눈에 띄는 국가는 어디인가요?

기자> 미국과 영국, 중국을 꼽을 수 있습니다.

먼저, 미국은 에듀테크 솔루션과 서비스, 콘텐츠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온라온 공개강좌 무크(MOOC)도 미국에서 시작됐고요.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의 51%를 미국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22%의 점유율을 기록 중입니다. 3년간 1조35억원의 예산이 일선 학교에 투입될 정도로 정부에서 대대적인 물량 공세를 벌이고 있고요.

교육 후진국이던 중국도 정부 주도 아래 매년 3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 중이고, 사용자도 연 45%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듀테크 산업이 확산되고 있네요. 우리나라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한국은 한참 뒤처져 있습니다.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이 5% 정돕니다. 둘째라면 서러울 정도의 엄청난 교육열과 초스피드 인터넷망을 지닌 국가 치고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 보니 인프라 보급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교육부는 지난 4월 올해 안에 1,878개 초등학교에 무선 인터넷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10월 기준으로 인프라를 구축한 초등학교는 825개에 그쳤습니다.

태블릿PC는 오는 2021년까지 38만5,600개를 확충한다고 하지만, 이는 전체 초·중학생 수의 10%에 불과합니다.


앵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에듀테크 인프라 현황을 말씀해 주셨는데, 유치원 쪽은 어떤가요? 증강현실이나 3D 영상과 같은 시청각 자료가 중요한 연령대인데요.

기자> 유치원의 경우는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아무런 예산 지원이 없어 자체적으로 무선 공유기를 달아야 하는데, 보안 문제를 해결한 장비라 가격이 500만원에 달합니다.

이 비용 부담 때문에 유치원에선 에듀테크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가령, 웅진씽크빅이 '북클럽킨더'란 유아교육 기관 전용 에듀테크 상품을 내놓은 지 2년이 넘었지만, 가입 기관이 1,000곳이 안 됩니다. 2016년 말 출시 때도 1,000곳 수준이었는데, 2년간 제자리걸음을 한 겁니다.


앵커> 시내 어디를 가도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학교만 섬처럼 고립된듯하네요. 다른 걸림돌은 없나요?


기자> 규제가 너무 강하다는 점도 문제로 꼽힙니다. 미국과 영국 등 에듀테크 산업에서 앞선 나라들의 공통점은 개별 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점입니다.

에듀테크 상품을 본인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어 맞춤형 교육이 가능합니다.

반면, 우리나라 공교육은 진입장벽이 높다는 평가입니다. 교육회사들이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지만, 천재교육 같은 기존 종이 교과서를 편찬하는 업체로 제한돼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 에듀테크 사업 인프라부터 규제 장벽까지, 총체적 난국처럼 보이는데요. 정부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았나요?

기자> 현재 교육부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무선 인프라와 태블릿PC를 보급하고,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의무화했습니다. 하지만 보급 속도가 너무 느리고, 기기 수도 제한적이란 문제는 여전합니다. 지난해 도서 읍면지역 600여개 초등학교에 교당 무선 공유기 4대, 스마트패드 60대가 보급됐는데, 이는 2개 반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합니다.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김진숙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실장 : 소프트웨어 교육이 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기반 시설이 인프라인데, 무선 인터넷이 학교든 교실이든 운동장이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들을 볼 수 있는 디바이스가 보급이 돼야 하는데 사실 많이 우리나라가 부족합니다. ]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아쉬움도 큽니다. 영국의 경우 초등생 코딩 교육 시간만 800시간입니다. 이 아이들은 졸업 과제로 스마트폰 앱까지 개발해 제출합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내년부터 5, 6학년 실과과목 시간에 17시간이 배정됩니다. 이 짧은 시간 동안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앵커> 우리나라 학생들이 해외에 비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는 말씀인데, 어떤 점이 개선돼야 할까요?

기자> 먼저 에듀테크 산업에 대한 인식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했는데도, 여전히 코딩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등한시하는 분위가가 사회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면, 정부 재정 지원이 대폭 확대돼 에듀테크 산업의 마중물이 되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요.

다른 선진국들처럼 민간 기업의 뛰어난 콘텐츠를 공교육 커리큘럼에 반영하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윤석진 기자 (drumboy2001@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